KCI등재
『화두』의 자전성 연구: 기억에 의한 구조(rescue)의 글쓰기 -‘마왕과 남매 영화’와 「헨젤과 그레텔」의 상호텍스트성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elf-Reflexivity in Hwadoo: Writing Using Memory as a Rescue -Focusing On the Intertextual Analysis of the Deviland the Sibling Movie and “Hansel and Gretel”-
저자
전두영 (전남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49-383(35쪽)
제공처
이 글은 『화두』에 나타난 작가의 자전성을 이 소설에 등장하는 영화를 통해 새롭게 이해한다. 『화두』의 화자이자 주인공은 1973년 미국 체류 중 한 괴기영화를 매우 의미 있게 보고 이 영화의 줄거리와 관객의 반응을 밝힌다. 그러나 작가는 이 영화의 표제를 밝히지 않는데, 본고는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영화 인용의 법칙을 놓고 볼 때 이 영화가 가상의 영화임을 주장한다. 본 연구는 이 영화가 생산되는 과정을 추적하고 가상의 영화를 구성하는 작가의 행위가 서사적 층위에서 어떤 효과를 낳는지 살펴본다. 본고는 이 영화가 동화 「헨젤과 그레텔」에 바탕한 창작물임을 주장하고 동화와 영화를 상호텍스트성 맥락에서 분석하며 이를 통해 작가 의식의 규명을 시도한다. 이 가상의 영화는 「헨젤과 그레텔」과 중심 서사를 공유하지만, 최인훈의 망명자로서의 자기 인식과 가족사는 이 영화에 서사적 강도를 더해 동화가 괴기영화가 되게 하였다. 영화는 두 차례에 걸쳐 화자의 꿈(악몽)에 영향을 미치고 영화는 이제 화자로 하여금 자신의 본질적 정체성이 망명자임을 고백하게 한다. 본 연구는 가상의 영화를 작가의 자서전적 재구성 차원에서 살펴보고 가상의 텍스트를 창조하는 작가의 행위를 문학적 ‘구조’ 행위로 명명한다.
더보기This paper provides a new understanding of the author’s self-reflexivity shown in Hwadoo through the movie that appears in this novel. The narrator and main character of Hwadoo watched a horror movie with great significance while staying in the United States in 1973, and reveals the plot of this movie and the audience’s reaction. However, the author does not reveal the title of this movie, and this paper argues that this movie is a fictional movie, considering the rules of movie quotation in Choi In-hoon’s novels. This study traces the production process of this movie and examines the effects of the author’s actions in composing the fictional movie at the narrative level. This paper argues that this movie is a creation based on the fairy tale “Hansel and Gretel”, analyzes the fairy tale and movie in the context of intertextuality, and attempts to clarify the author’s consciousness through this. This fictional movie shares a central narrative with “Hansel and Gretel”, but Choi In-hoon’s self-awareness as an exile and his family history add narrative intensity to the movie, turning it from a fairy tale into a horror movie. The movie affects the narrator’s dreams (nightmares) on two occasions, and the movie now makes the narrator confess that his essential identity is that of an exile. This study examines a fictional movi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uthor’s autobiographical reconstruction and names the author’s act of creating a fictional text as an act of literary ‘rescue’.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