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TDD 방식의 제4이동통신 설립 및 국민경제 효과 분석 -LTETDD 방식을 통한 한중일 및 세계화 로밍과 ICT 산업 선진화 전략- = The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Fourth Mobile Communication Firm of the TDD Scheme and the National Economic Effect Analysis -LTETDD Scheme through CJK(trilateral) and Global Roaming and advanced ICT Industry Strategy-
저자
발행기관
한일경상학회(THE KOREAN-JAPANESE ECONOMICS & MANAGEMENT ASSOCIATION)
학술지명
한일경상논집(THE KOREAN-JAPANESE JOURNAL OF ECONOMICS & MANAGEMENT STUDIES)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43-167(25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In this paper, we was South Korea is the world’s leading telecommunications business to this day, continue to study the alternatives for how you could continue to lead. Of the world’s mobile communications business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Korea’s leading wireless transmission technology.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een achiev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various technologies related to communication devices and terminals. In the recent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rather than just the number of related technical development of the terminal itself is going to very fast. Therefore, mobile communications business should consider the technical aspects of this. Currently, Korea Alth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dopting LTE-FDD, the world’s leading countries are turning to LTE-TDD. LTE-TDD is currently preparing the implementation hayeotgeona 58 operators in 37 countries have implemented. LTE-TDD is about more than 100 operators in about 100 countries in the future seems to be a business. In particular, China and Japan, while South Korea also carried out a TDD scheme using the TDD scheme will also yirueoya international unity and romance of mobile romance of Korea, China and Japan. Therefore, mobile operators should be permitted to be opening in Korea with LTE-TDD scheme, through which South Korea will be leading the ICT industry in the future.
더보기본 논문은 현재까지 한국이 세계 통신사업을 주도하였으며, 앞으로도 어떻게 하면 지속적으로 선도할 수 있을까 하는 대안을 연구하였다. 세계의 이동통신사업은 한국의 무선전송기술이 주도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동통신기술은 다양한 관련된 통신장비 및 단말기의 기술발전을 통하여 달성하고 있다. 최근의 이동통신기술을 보면, 단순한 무선통신기술보다는 단말기 자체의 다양한 관련 기술적인 발전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사업은 이와 같은 기술적인 측면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현재 한국은 이동통신 방식이 LTE-FDD를 채택하고 있으나, 세계 주요 국가는 LTE-TDD로 바꾸고 있다. 현재 LTE-TDD는 37개국 58개 사업자가 시행하였거나 시행을 준비 중에 있다. LTE-TDD는 앞으로 약 100개 국가에서 약 100개 이상의 사업자가 사업을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중국과 일본은 TDD 방식을 수행하면서 한국도 TDD 방식을 수용하여 한중일의 이동통신 로망의 통일과 국제적인 로망도 이루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한국에서 신설될 이동통신사는 LTE-TDD 방식으로 허가하여야 하며, 이를 통하여 한국이 미래에도 ICT 산업을 선도하여야 할 것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5 | 0.75 | 0.6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5 | 0.63 | 0.768 | 0.3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