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국문 전자정부 연구 동향의 체계적 분석: PRISMA 기반 문헌고찰과 토픽모델링 기법 적용 = A Systematic Analysis of Korean E-Government Research Trends: PRISMA-Guided Review and Topic Modeling Approach
저자
이수인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3-158(26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본 연구는 국내 전자정부 분야 학술연구의 구조적 특성과 시계열적 변화 흐름을 실증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RISS, DBpia, KISS, E-article, Kyobo Scholar 등 5개 주요 DB에서 ‘전자정부’ 키워드로 논문을 수집하고, PRISMA 지침에 따라 1996~2022년까지 발표된 총 976편의 국문 논문을 정제한 후, LDA 토픽모델링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①전자정부 성과 평가, ②전자정부 시스템 및 정보 운영, ③정보화 정책 및 추진 전략, ④시민참여와 전자적 민주주의의 네 가지 주요 주제로 분류되었으며, 자카드 유사도 분석을 통해 토픽 간 중첩성과 경계성도 진단하였다.
국문 텍스트 기반의 전자정부 연구 누적 구조를 정량적으로 구조화했다는 점에서 방법론적 차별성을 갖는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정량지표 중심의 평가를 넘어 시민 수용성과 반응성을 반영하는 복합 평가체계의 필요성, 범정부 데이터 연계 기반의 운영 체계 정비 등이 주요 시사점으로 도출되었다.
This study conducts a systematic review of Korean-language e-government research by applying PRISMA guidelines and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topic modeling to identify major research themes and their longitudinal trends. A total of 976 articles published between 1996 and 2022 were collected from five major Korean academic databases using the keyword “e-government.” The analysis yielded four core topics: (1) performance evaluation, (2) system and information operations, (3) informatization policy and strategy, and (4) civic engagement and digital democracy. To assess thematic redundancy and boundary clarity, Jaccard similarity coefficients were applied.
By structuring and visualizing the accumulated research discourse quantitatively, this study offers methodological originality beyond keyword-based descriptive reviews. The findings highlight a thematic evolution from system-level digitalization to multidimensional concerns such as policy effectiveness, institutional accountability, and civic engagement. Key implications include the need for hybrid performance evaluation frameworks that incorporate citizen responsiveness, the reorganization of interagency data integration mechanisms,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participatory governance infrastructure.
This study contributes to a structural understanding of the e-government research landscape and presents a foundational framework for advancing academic inquiry and data-driven policy development in the evolving context of digital government.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