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신과 함께》신화편에 나타난 신화적 세계의 재편 - 신화의 수용과 변주를 중심으로 - = The Reinterpretations of Myths and the Reorganization of Mythical Worlds in a Webtoon - With a focus on acceptance and variation of the Myth -
저자
이명현 (중앙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67-192(26쪽)
KCI 피인용횟수
17
제공처
소장기관
This study analyzed the reinterpretations of myths in the Myths episode of With Gods, a webtoon series, from the perspective of acceptance and variation of myths, and examined storytelling methods for the popularization of myths.
The episode put the time and space backgrounds in order and connected individual myths organically. Its linear structure is a storytelling style to reinforce the internal inevitability of stories and incorporate complex events and stories into one, thus satisfying the readers' expectations.
Seen from today's perspective, myths lack probability in the development of events and do not show the internal worlds and psychological conflicts of characters specifically in some cases. In the episode, the author filled missing parts up with his imagination, added causal relations to the events, and depicted the internal psychology of characters in a concrete manner, thus increasing probability.
The episode presents the myths of our times recreated by accepting the changes of the times. In the webtoon, people's ability to change the reality, the boundary between the subject and others, and the values of individuals and families are the issues we face today. The ways the webtoon resolve those issues seem like mythological alternatives to call a transcendent world in reality.
Myths should be expanded and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to maintain their life force and keep breathing, from which perspective the episode is a new myth of our times that has expanded the traditional imagination or a different modern version of mythology.
이 논문에서는 신화의 수용과 변주라는 관점에서 웹툰 《신과 함께》신화편에 나타난신화의 재해석을 분석하고, 신화의 대중화를 위한 스토리텔링 방식을 검토하였다.
《신과 함께》신화편은 6편의 신화를 컨버전스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하나의 이야기로재구성한 작품이다. 웹툰에서는 공통의 시공간 배경을 설정하여 신격의 계보를 질서화하고, 개별 신화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였다. 이러한 선형적 구조는 이야기의 내적 필연성을 강화하고 복잡한 사건과 이야기를 하나로 통합하여 독자의 기대지평을 충족시킨 스토리텔링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오늘날의 관점에서 신화는 사건 전개의 개연성이 미흡하기도 하고, 등장인물의 내면세계와 심리적 갈등이 구체적으로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신과 함께》신화편에서는상상력으로 원작의 빈 공간을 채워서 사건의 인과관계를 덧붙이고, 인물의 내면 심리를 구체적으로 묘사하여 개연성을 높이는 스토리텔링 방식을 취하고 있다.
《신과 함께》신화편은 시대 변화를 수용한 우리 시대의 신화적 대안이다. 웹툰에 나타난 민중의 현실 변혁 능력, 주체와 타자의 경계 등은 오늘날 우리가 당면한 문제이고, 웹툰의 해결 방식은 초월적 세계를 현실에 호명한 신화적 방식으로 제시된다.
신화가 생명력을 가지고 살아 숨쉬기 위해서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확장되고 변주되어 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신과 함께》신화편은 전통적 상상력을 확장한 또 하나의 신화이자 현대의 신화적 대안이라 할 수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3 | 0.73 | 0.7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2 | 0.64 | 1.574 | 0.0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