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플라톤의 ‘무시케’ 교육과 이성의 관계: ‘시가’의 내용을 중심으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주제어
KDC
37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3-90(18쪽)
제공처
본 논문의 목적은 시가 교육의 내용을 중심으로 플라톤의 무시케(mousike) 교육과 이성의 관계를 고찰하는 것이다. 대화편 「국가론」에 의하면 무시케는 예술 작품들로 구성되며 이성의 계발을 위한 기초를 이룬다. 예술 작품은 진리의 획득을 가능케 한다는 가다머의 주장은 예술 작품으로서의 무시케가 이성의 계발을 가능케 한다는 논점을 뒷받침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다머의 예술 이론은 호머의 시가(詩歌)에 대한 플라톤의 비판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다. 플라톤은 호머의 시가를 비판하면서 ‘좋은 시가’는 ‘신을 선한 존재로 묘사해야 한다’는 창작의 원리를 제시한다. 플라톤이 옹호하는 좋은 시가는 초월적 상상을 가능케 한다. 감상자는 초월적 상상을 통하여 시가 안에 들어 있는 특수한 이미지들 그 자체에 집착하는 대신 ‘선’의 관념을 품을 수 있고, 그러한 관념에 비추어 자기 이해를 획득할 수 있다. 좋은 시가를 통하여 초월적 상상을 품을 수 있는 감상자는, 감각에 주어진 특수자를 넘어선 보편자에 관하여 추론할 수 있고, 특수자들의 모순을 자각하는 자기 이해도 획득할 수 있다. 좋은 시가를 통하여 획득한 초월적 상상과 자기 이해로 말미암아 감상자는 추론의 기능을 수행하는 이성을 계발할 수 있다.
더보기This study was designed to clarify the relation of ‘mousike’ education in the Republic of Plato and the development of Reason, focusing on the education of poetry. Mousike is composed of works of art, and is considered as the foundation of the development of reason. According to Gadamer, works of art make it possible to possess the truth, in the sense that they bring to light what is otherwise constantly hidden and withdrawn. This gives support of the argument of Plato that Mousike makes foundation of reason. However, in interpreting on the poetry of Homer, Gadamer’s theory of arts is not sufficient to explain mousike education. Plato, criticizing the poetry of Homer, insists that God isn’t the cause of all things but only of good ones. Plato’s sense of good poetry is able to arouse ‘transcendental imagination’. In virtue of it, a learner of a good poetry, instead of obsessing over the particular images in the poetry, conceive of ‘the Good’. Furthermore, a learner of Mousike is able to understand one’s life in the light of the idea of the Good. In virtue of the transcendental imagination, one is able to think of the universal beyond the particulars given by way of sensation as well as acquire the self-understanding which can recognize the ignorance of oneself. Mousike Education makes it possible for a learner to develop reason through transcendental imagination and selfunderstanding.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