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채권을 양도하고 통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채무자로부터 금전을 수령하여 소비한 채권양도인의 횡령죄 성립에 관한 연구 = On the Establishment of Embezzlement by a Claim Assignor Who Receives and Spends Funds from the Debtor Without Notification of the Assignment
저자
정배근 (한국연구재단)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9-124(26쪽)
제공처
본 논문은 채권 양도인이 채권 양도 통지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채무자로부터 금전을 수령한 후 이를 임의로 소비한 행위가 횡령죄를 구성하는지에 대한 법적 문제를 다룬다. 채권의 양도는 민사상 중요한 법률행위로서, 채권 양도 후 양수인이 채권을 완전하게 이전받기 위해서는 채권양도 통지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채권 양도 통지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양도인이 채무자로부터 금전을 수령하고 이를 소비한 경우, 그 법적 책임이 어떻게 귀속되는지는 판례와 학설 간에 논란이 있어 왔다.
1999년 대법원 판결에서는 채권 양도인의 횡령죄 성립을 인정하며, 이는 양도인이 양수인을 대신하여 채무자로부터 수령한 금전이 양수인의 재물에 해당하고, 양도인은 이를 위탁받아 보관하는 지위에 있다고 보았다. 이 판결은 채권 양도와 관련된 민사적 신임관계를 형법적 책임으로 확장하여 해석한 중요한 판례로, 양도인이 금전을 임의로 소비하는 경우 그 행위가 양수인의 재산권을 침해하는 것으로 보아 형사 처벌의 대상으로 삼았다.
반면, 2022년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은 기존의 판례를 변경하여 횡령죄 성립을 부정하였다. 이 판결에서는 채권 양도의 합의와 금전의 소유권 이전을 별개의 문제로 보았으며, 양도인이 채권 양도 통지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령한 금전은 여전히 양도인의 소유로 간주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즉, 양도인이 수령한 금전이 반드시 양수인의 소유가 아니며, 따라서 이를 임의로 소비한 행위가 횡령죄를 구성하지 않는다고 보았다. 이는 채권 양도와 관련된 민사적 의무를 형사적으로 평가하는 데 있어 보다 엄격한 기준을 적용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두 판례 차이를 바탕으로 채권의 이전과 금전 소유권의 귀속 문제, 그리고 채권 양도인과 양수인 사이의 위탁신임관계를 중심으로 횡령죄 성립 여부를 검토하였다. 또한 채권 양도 후 양수인의 권리 보호를 위한 법적 장치와 형법적 개입의 한계를 다루며, 최근 대법원의 판례 변경이 사적 자치 영역에서의 형법 개입을 제한하고자 하는 판례의 흐름을 반영한 것임을 논의한다. 또한, 재물의 타인성과 보관자 지위에 대한 판단이 횡령죄 성립에 미치는 영향을 재조명하며, 2022년 판결에서 다수의견이 주장한 재물의 타인성과 위탁신임관계 분리 판단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내린다. 이로써 채권 양도인과 양수인 간의 민사적 신임관계가 형법적 책임으로 직접 연결되지 않음을 확인하며, 형법적 평가의 기준을 보다 명확히 설정하고자 한다.
This paper provides an analysis of the legal issues surrounding whether the actions of a creditor, who receives funds from a debtor without notifying them of the assignment and then uses those funds for personal purposes, constitute embezzlement. However, when such notification is not given, and the assignor receives and utilizes the debtor’s payment, the legal implication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assignor have been a contentious issue in both case law and academic discourse.
In the 1999 Supreme Court decision, the crime of embezzlement was affirmed. The court ruled that the assignor, by receiving money on behalf of the assignee, held it as the assignee’s property, thereby extending the civil entrustment relationship into criminal liability and justifying criminal sanctions for misappropriation.
The 2022 Supreme Court decision overturned the previous ruling, denying embezzlement in similar cases. It distinguished between claim assignment and fund ownership, ruling that funds received by the assignor without debtor notification remain the assignor's property. Thus, using these funds does not automatically constitute embezzlement, reflecting a stricter approach to criminalizing civil obligations.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se two rulings, focusing on the issues of claim transfer, the attribution of ownership of the funds, and the entrust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assignor and the assignee. It explores the legal mechanisms available for protecting the rights of the assignee following the assignment of a claim and the limits of criminal law intervention in civil transactions. The recent shift in the Supreme Court’s approach, as seen in the 2022 ruling, is discussed as part of a broader trend towards limiting the reach of criminal law into areas traditionally governed by civil autonomy.
Moreover, this study reexamines the impact of the determination of “ownership of another’s property” and the custodian status on the establishment of embezzlement. It concludes that the logical structure and conclusions of the 2022 ruling, which separates the concepts of property ownership and the entrustment relationship, are justified. This analysis underscores that the civil entrust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assignor and the assignee does not directly translate into criminal liability, thereby clarifying the standards for criminal evaluation in such context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