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장수위험 추정과 공적연금의기금 적립율 변화 = Estimation of Longevity Risk and Funding Ratio of Public Pension
저자
원종현 (국회입법조사처)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26(26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소장기관
Most of the public pension promises to pay benefit starting since its retirement until policyholder’s death. In the process of fulfilling this period agencies, operating with DB(Define Benefit) type pension, change its reserve amount according to recipient’s age of death. Similar to the Korea National Pension, in the case of national pension is determined its obligation of paying benefit by it demographical change and keeps the most fundamental systematic factor,Longevity Risk, in its nature. Longevity Risk is originated in change of the death-rate and concept of survival function and as it approaches to elder generation, shape of the death-rate curve resembles to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 as known as increase figure from its phenomenal expansion.
Longevity Risk is defined as the risk that the amount of money an individual saves for retirement might not be enough to sustain them, due to increased life expectancy. This sort of risk can be hedged by pension insurance which gives certain amount of income until its death.
National Pension can be the most representative type of goods in domestic case (Korea).
However, the understanding of Longevity Risk in insurance market or pension market is quite different. To hedge Longevity Risk, individual recipients are exposed to spend more money in longer period to insurance companies or pension agencies than they expected according to increase of their remaining life.
In this paper, estimating the Longevity Risk by death rate in age category and change of remaining life by forecasting of population structure in the long term by assuming artificial public pension that entire nation is a member. Result of the estimation didn’t show significant increase of pension liability when comparing obligation of pension payment due to the change of death rate and remaining life in age category to the case of applying the stationary death rate. Average trend of long-term debt sustain in certain level regardless of Longevity Risk. It is considered to achieve its long-term convergence to its average. Instead, fluctuation in trend showed dynamical increase which means shortfall risk of funding ratio had been bigger.
대부분의 공적연금은 가입자에게 연금 급여를 퇴직 후 부터 사망시까지 지급할 것을 약속한다. 이러한 약속을 이행하는 과정에서 DB(Define Benefit)형 연금제도를 가진 연금운영기관은 수급자의 사망연령의 변화에 따른 급여를 지급하기 위한 준비금이 변하게 된다. 우리나라의 국민연금과 같은 전국민 연금의 경우 국가의 인구구조의 변화에 의하여 기금지급의 의무액이 결정되며 이중에서 인구학적 속성상 체계적 위험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로 장수위험(Longevity Risk)을 염두에 두게 된다. 장수위험은 사망률 추이와 생존함수의 개념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고령세대로 갈수록 사망률 곡선의 형태가 확률분포를 나타내면서 소위 확장현상에 의해 증가되는 형태를 보인다. 장수위험을 통제하기 위해서는 우선 사망테이블을 추정하는 것으로 미래의 사망 추세를 예측하여 구성한다.
장수위험이란 개인의 입장에서는 퇴직 후 소비할 자금이 점차 잔여 생애가 증가되면서 부족해지게 되는 위험을 의미한다. 이러한 위험은 사망 시까지 일정 소득을 지급해 주는 연금보험 상품 등으로 위험을 헤지할 수 있다. 국내의 경우 국민연금을 가장 대표적인 상품으로 제시할 수 있다. 그러나 보험시장이나 연금시장에서 인식하는 장수위험은 조금 다르다. 일단 장수위험을 헤지하기 위해 가입한 개인들의 잔여수명이 증가되면서 보험사나 연금기관에서는 예측한 연금지급액보다 더욱 오래, 더 많이 지출하게 될 위험에 직면하게 되는 위험으로 다가온다.
이에 본고에서는 국내 전국민이 가입하는 가상의 공적연금을 가정하여 장기인구추계를 통해 연령별 사망률과 잔여수명의 추이를 통해 장수위험을 추정해 보고자 하였다. 추정결과 각 연령별로 사망률과 잔여수명이 변화하면서 연금급여의 지급의무, 즉 연금부채는 정태적인 사망률가정을 도입하였을 때와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증가되지는 않았다. 장기부채의 평균추이는 장수위험에 대한 고려와 관계없이 일정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뮬레이션에 의해 평균으로 장기적 수렴이 이루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 대신 추세에 대한 변동성이 크게 증가되면서 기금적립율이 일정수준 이하로 하락할 위험(shortfall risk)는 크게 증가된 모습이 나타났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6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1 | 0.72 | 1.145 | 0.0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