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符都誌』에 나타난 韓國仙道의 ‘一·三論’ = ‘The theory on One-Three(一三論)’ of Korean Sundo(仙道) viewing through『Budo-ji符都誌』
저자
정경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63-204(42쪽)
KCI 피인용횟수
18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Budo-ji符都誌』consists of two parts. The former part is the ontology and the historical view of Korean Sundo. The latter part is the origin of human history and Korean history viewing through the historical view based on Korean Sundo.
According to the historical view of『Budo-ji』, the age of Mago-sung麻姑城 that the progenitors of the human race had completed to their mission that is to maintain the order of the universe, was indicated to the ultimate model for human to pursue. The historical view to pursue the revolution to the age of Mago-sung could be called to the historical view of Bokbon(復本: the revolution to the root).
In Korean Sundo, it has been conceived that 'One'(Il一: Oneness, the whole, God: ) has an inclination to repeat endless periodicity of birth and death. Also『Budo-ji』has the theory on the periodicity, it is the theory on Sun-chun先天(the preceding periodicity of the being or the universe) and Hu-chun後天(the following periodicity of the being or the universe).
When we investigate flows of Sun-chun先天 or Hu-chun後天 minutely, we can find out the fact that these periodicity is just the process of the three dimensions of the being or the universe, that is Chun(天: Information or Naught無·空 : Huh-dal-sung虛達城), Ji(地: Material : Sil-dal-sung實達城), and In(人: Energy : Ki氣 : Mago-sung麻姑城), is harmonized to revealed to the concrete being or the concrete universe.
In『Budo-ji』, the process that the three dimensions of the being or the universe is harmonized to revealed to the concrete universe or the concrete being, was divided into several stages. Also this process was explained with the theory on Ruh-Yul(呂律論) and the theory on Eum-Hyang(音響論).
According to the theory on Ruh-Yul(呂律論), Ruh(呂) acts first, and then Yul(律) acts in the second place. As Yul(律) acts, the being or the universe can be revealed itself concretely. The acting aspect of Ruh(呂) was conceptualized to Eum(音) and the acting aspect of Yul(律) was conceptualized to Hyang(響).
Therefore the theory on Ruh-Yul(呂律論) and the theory on Eum-Hyang(音響論) are different expressive methods about the same theory. In conclusion, Ruh(呂) or Eum(音) means the possibility of revelation to the being or the universe. Yul(律) or Hyang(響) means the consequence of revelation to the concrete being or the concrete universe.
In『Chunbu-kyung天符經』and『Samil-singo三一誥』, there is the original form of the theory on One-Three(一三論) of Korean Sundo. We can find just the same theory in 『Budo-ji』.
『부도지』는 내용상 제1부 ‘存在論 및 史觀’ 부분 및 제2부 ‘인류사 및 한국사의 시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제1부에서는 한국선도 고유의 존재론이 ‘神話’의 방식으로 제시되어 있는데 이 속에 한국선도 고유의 역사 인식, 곧 ‘仙道史觀’이 내포되어 있다.
『부도지』의 ‘선도사관’에서는 麻姑城 시기, 곧 人祖들이 존재계의 질서를 안정시키는 본연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였던 시기를 인류사의 기준점으로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인조들이 마고성에서 分居해 나온 이후에는 한결같이 ‘復本’의 기준을 적용하였다. ‘復本’의 ‘本(근본)’이란 ‘마고성에서의 인조들의 근본(本) 상태’라는 의미로, 여기에서 마고성 시기를 이상시하는 역사 인식이 단적으로 드러나 있다. 『부도지』의 선도사관에서는 ‘復本’의 기준이 너무나 선명하여 ‘復本史觀’이라고 이름할 수 있을 정도이다.
제2부는 人祖들의 麻姑城 分居 이래 ‘復本’의 상징물인 ‘天符’가 黃穹氏 → 有因氏 → 桓因氏 → 桓雄氏 → 任儉氏 → 夫婁氏 → 浥婁氏로 이어지는 7世 7천년간의 역사이다.
한국선도에서 ‘존재(계) 자체’인 ‘一()’은 무수한 생멸의 주기를 반복하는 속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이해되는데, 이는 ‘週期論’으로 이름해 볼 수 있다. 『부도지』역시 ‘先天·後天論’이라는 ‘주기론’을 취하고 있다. 선천과 후천 사이에 ‘朕世’가 설정되어 있지만 과도기에 불과하며 ‘선천’이나 ‘짐세’는 ‘후천’을 논하기 위한 전제로서 잠깐 이야기될 뿐이다. 분량이나 내용 면에서 전적으로 후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데,『부도지』는 존재계의 무수한 주기 반복의 역사 중에서도 ‘후천’으로 이름한 특정 주기의 역사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쓰여졌음을 알 수 있다.
선천이나 후천 주기의 세부적인 흐름을 따라가다 보면, 이들 주기는 존재의 세 차원인 ‘虛達城·麻姑城·實達城’ 三元이 어우러져 존재계로 발현되는 과정에 다름아님을 알게 된다. 한국선도에서는 ‘존재(계) 자체’인 ‘一(신)’을 이루고 있는 존재의 세 차원으로서 天(정보 또는 無·空), 地(질료), 人(에너지)을 제시하고 있는데,『부도지』에서는 이를 虛達城·麻姑城·實達城으로 표현하고 있다. 天(정보)이 갖고 있는 ‘無性·空性’을 범주화하여 ‘虛達城’으로, 地(질료)가 갖고 있는 ‘물질성·구체성’을 범주화하여 ‘實達城’으로, 人(에너지)이 갖고 있는 ‘三元造化의 중심으로서의 운동성·창조성’을 ‘麻姑’라는 여신으로 의인화하고 또 이를 麻姑城으로 범주화한 것이다.
虛達城·麻姑城·實達城 삼원이 어우러져 존재계로 구현되는 과정은 몇 단계의 소시기로 구분되는데, 이 과정은 삼원이 어우러져 존재계로 발현되는 과정이 麻姑城 차원 중심으로 설명되고 있다. 그 이유는 虛達城·麻姑城·實達城 삼원 중에서도 마고성 차원이 삼원을 움직이는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으로, 이는 한국선도의 一·三論에서 天·人·地 삼원중 특히 人 차원에 삼원조화의 중심 역할을 부여하는 특징에 다름아니다.
一週期 내에서 ‘虛達城·麻姑城·實達城 삼원이 어우러져 존재계로 구현되는 과정은 ‘呂律論’(‘音響論‘)으로도 설명되고 있다. 呂律論의 경우, ‘呂’가 먼저 작용한 다음 ‘律’이 작용하며 ‘律’의 작용과 함께 비로소 존재계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呂’는 현상의 존재계가 형성 ...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5-0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仙道文化 제6집 -> 仙道文化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07-04-1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선도문화연구원 -> 국학연구원영문명 : Korean Sundo Culture Institute -> kukhak Institute | |
2006-11-1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Institute for Korea Sundo & Culture -> Korean Sundo Culture Institute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6 | 0.36 | 0.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1 | 0.42 | 0.996 | 0.4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