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저자
발행사항
서울 : 단국대학교 정책경영대학원, 2003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단국대학교 정책경영대학원 , 정책학과 사회복지 전공 , 2003
발행연도
2003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KDC
338.1 판사항(4)
발행국(도시)
서울
형태사항
vi, 73p. : 삽도 ; 26cm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66-69
소장기관
현대사회는 급속한 산업화·정보화의 시대적 변화를 맞이하면서 예견할 수 없을 만큼 다양하고 복잡한 사회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환기적 시기에 사회적 약자들의 심리적 고통과 경제적 생활고는 엄청난 사회변동으로 더욱 가속되고 있으며, 일반 국민들의 일상생활도 삶의 질에 있어서 어떤 점에선 후퇴되고 있다. 그렇다면 사회복지는 개인의 기본적 욕구 충족에 인간다운 삶의 질을 높여주는 경제적, 사회적, 도덕적, 문화적인 수준에까지 그 활동영역을 넓혀야 한다. 그러나 현존 사회복지는 사회문제해결의 기능적인 방법에 역점을 두고 있어 미래지향적이고 과학적인 이론과 실천의 체계화는 미흡한 상태에 있다. 따라서 이제 사회복지의 방향을 특수한 욕구를 지닌 사회적 약자는 물론, 일반 국민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영역에까지 넓혀야 된다는 시대적 요구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복지 관련 서비스의 목적하는바가 소비자에게 적절히 전달되고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사회복지 전달체계가 서비스를 적절히 전달할 수 있는 체계로 구성되어야 한다. 즉, 사회복지전달체계의 전문성이 결여되어 있다는데 기인하고 있다. 정부 복지정책의 전문성 결여와 이외 실천을 위한 사회복지 예산부족 등으로 전달체계 자체가 미비되어 요 보호자들의 욕구파악도 어려운 실정으로 연구결과가 밝혀졌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사회복지의 전환기적 시점에서 사회복지서비스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전달체계의 확립이 무엇보다 중요한 선결문제라는 점도 연구과정에서 밝혀졌다.
그러므로 우리는 오늘날의 사회환경에 알맞고 국민의 복지욕구를 충족시키기에 적합하도록 현행의 사회복지 전달체계를 개선하여야 한다. 현행 사회복지 전달체계는 보건복지부와 행정자치부로 업무가 이원화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이 미흡한 기관 중심적인 전달체계로써 사회복지 서비스의 소비자가 경제적 조건에 의해 한정되고 획일적인 서비스만을 공급해 주는 비합리적이고 전근대적인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 같은 점을 중심으로 연구한 본 논문의 장별 내용으로 제 1장에서는 사회복지 전달체계에 대한 연구목적과 함께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제시하였고, 제2장에서는 사회복지 의의,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개념, 유형, 원칙, 기능, 중요성과 분석요소 등 이론적 배경을 검토해 보았으며, 중심으로 논리를 전개하였다. 제 3장에서는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현황을 중심으로 조직, 인력, 재정, 보건복지사무소로 나누어 논하였다. 제 4장에서는 3장의 현황 내용을 바탕으로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하여 정책적 대안을 제시했으며, 제 5장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결론을 추출하였다.
그러나 좋은 정책 대안을 제시하더라도 실천이 따르지 않으면 아무런 효과가 없는 만큼 전달체계에 관한 개선방안들이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의지의 노력이 있어야 되겠다는 견해가 연구결과로써 얻는 또하나의 결론이다.
Modern societies, with the rapid change of the times of industrialization and informationization, are facing various and complex social problems beyond prediction. In this period at the turning point, psychological pains and economical hardships of life of weak persons in society have been accelerating due to big social changes, while general people's daily lives, in the aspect of the quality of life, have been regressing in a certain way. Thus social welfare should extend its activity regions to economical, social, moral and cultural levels so that it can enhance a decent quality of life as well as meeting basic desire of individuals. Yet because the existing social welfare emphasizes a functional way in solving the social problems, systemization of future-oriented and scientific theory and practice is insufficient. Therefore, we face the needs of the times that now the direction of social welfare should be expanded to a new field to meet the desire of general people, not to mention the weak in society who have special desire. First of all, to properly convey the intention of services related to social welfare to consumers and to produce intended effect, the system that social welfare communication system can convey services appropriately should be formed. It means that it is derived from the lack of speciality. As the result of the study, it was determined that the lack of speciality in welfare policies of the government and the shortage of social welfare budget brought about insufficient communication system itself, and the need of people necessary to be protected could hardly be grasped. In addition, at this time of the turning point of social welfare, the establishment of social welfare communication system was the most important thing calling for prior settlement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social welfare services.
Accordingly, we need to improve the present social welfare communication system suitable to be good to social environment at present and to meet people's desire for welfare. The work of the existing social welfare communication system is dualized into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and the system is an agency-centered one which is insufficient in offering special social welfare services. Besides, it is unreasonable and out-of-date system offering only services that is limited by economical condition of consumers of social welfare services and is uniform. In this context, this paper includes the following: Chapter 1 presented the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together with its goal of the social welfare communication system; chapter 2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such as the significance of social welfare, and concept, types, principles, function, importance and analyzing factors in the communication system of social welfare, and based upon it developed the theory. On the basis of the actual situation of social welfare communication system, chapter 3 divided into organization, human power, finance and health-welfare offices and discussed them. On the other hand, chapter 4 presented policy measures about the problems and remedies based upon the content of the actual condition in chapter 3, and chapter 5, centering upon these results of the study, abstracted the conclusion.
However, there has no effect in case practice is not accompanied by it although good policy measures are suggested, so to obtain the desired result of improving measures about the communication system,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make an effort to build a policy positivel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