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실 내 학습자 주도성에 대한 교육심리학적 고찰 = Educational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Student Agency in Classroom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주제어
KDC
3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5-82(18쪽)
제공처
미래 교육의 궁극적 지향점으로서 학습자 주도성에 관한 교육계의 관심이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학습자 주도성의 정의는 무엇이고, 이를 교실 현장에서 지원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은 무엇인가에 대한 개념적, 이론적 합의는 요원하다. 본 연구에서는 주도성과 관련된 교육심리학계 대표 이론으로서 사회인지이론과 자기결정성이론이 바라보는 주도성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시도하였다. 두 이론 모두 주도성의 보편성과 인간의 동기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상태로서 주도성을 가정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그러나 주도성에 대한 개념적 정의와 주도성 발현에 있어서 사회 환경의 역할에 대한 이론적 가정에서 두 이론의 관점이 상이하다. 사회인지이론은 인간의 의도된 모든 행동이 주도성의 발현이라고 보는 반면, 자기결정성이론은 진정한 의미의 자아가 통합되고 결정된 상태에서 비롯되는 모든 행동이 주도성의 발현이라고 보았다. 전자에서는 개인을 둘러싼 사회 환경이 곧 주도성의 원천으로 기능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차지하는 반면, 후자에서는 사회 환경은 개인의 내재된 자율성을 지지하는 보조적인 역할을 맡는다.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학습자 주도성을 둘러싼 교육현장 내 대표적인 오해에 대한 부분적 해답을 제공하는 동시에, 교실 현장에서 학습자 주도성을 지원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더보기A growing interest in learner agency as an ultimate goal of future education has continued. Still, there is a paucity of consensus on what learner agency is and what is a systematic approach to promote learner agency in classroom contexts based on the conceptual and theoretical foundation. In the present study, I aimed to conduct a critical review about two representative theories about human agency in an educational psychology field: social cognitive theory and self-determination theory. On the one hand, both theories share the fundamental assumptions that human agency is universal and is an ultimate ideal state that human motivation head towards. On the other hand, they have distinct perspectives about the detailed conceptual definition of agency and the role of social environment in exercise and expression of agency. Social cognitive theory posits that all intentional behaviors are agentic, whereas self-determination theory argues that truly self-determined behaviors satisfying individual’s basic psychological needs are agentic. In the former, social environment surrounding person plays a key role in functioning as an origin of human agency, while in the latter, social environment plays an auxiliary role in supporting person’s intrinsic need for autonomy.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I attempted to provide partial solutions that correct misunderstandings about learner agency and to suggest guidelines supporting learner agency in classroom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