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미술시장에서의 상업화랑의 비즈니스 모델과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 Art Administration and the Business Model for A Commercial Art Gallery in the Korean Contemporary Art World
저자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06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 예술기획 전공 , 2006. 2
발행연도
2006
작성언어
한국어
DDC
708.00681 판사항(20)
발행국(도시)
서울
형태사항
v, 80 장 : 도판,도표 ; 26 cm
일반주기명
참고문헌(74-77장) 수록
DOI식별코드
소장기관
문화의 세기라고 말하는 21세기는 국제적으로 다양해진 문화예술의 발전과 대중화로 미술, 음악, 영화, 공연 등 풍성한 문화활동을 향유할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다양해지고 대중화된 문화예술 장르 가운데 미술 분야 역시 국제화 시대를 맞아 그 역할과 유통 개념은 더욱 중요해 지고 있으며, 국내 미술시장에 대한 미적 가치와 미술품의 경제적 가치 변화에 대한 이해와 평가는 국가 문화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해 필요한 기본 과제가 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미술계는 불투명하고 불합리한 미술시장의 유통구조와 관행으로 지금까지 많은 어려움에 당면하고 있다. 특히 유통기관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상업화랑은 작가와 고객을 연결하는 방법을 새롭고 더욱 전문적으로 연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화랑의 역할과 미술품이 전시라는 형태로 화랑을 통해 고객에게 소개 ‧ 판매되는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전시기획과 판매, 고객확보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화랑의 발전적 비즈니스 모델로 제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화랑의 기본적인 역할인 작가발굴과 지원형태, 둘째 전시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한 전시기획과 홍보, 셋째 국제시장으로의 진출을 위한 아트페어의 특성과 현황, 마지막으로 아트컨설팅에 대한 개념과 현황을 가장 활발한 활동을 보이는 화랑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화랑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미술시장의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문화는 이제 삶을 풍요롭게 하는 기본적인 요소로 자리 잡았고, 특히 미술은 우리의 일상생활 모든 의식주 전면에 활용되고 있다. 물론 미술품을 향유하는 콜렉터 층은 대부분 수입이 안정된 40-50대 층의 일부 미술 애호가들이 주류를 이루지만 빠른 문화인식의 확산으로 향후 확보될 잠재고객의 수는 점차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예술에의 관심은 일반적으로 높은 교육층에서 나오기 때문에 예술의 공급은 전체적으로 볼 때 적당히 구매력이 있는 잠재 수요와는 대립을 이룬다. 또한 예술시장이 경기침체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예술에 대한 수요가 결정적으로 안목에 따른 가치판단과 더불어 수입에 의존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화랑은 미술관의 수가 다른 국가에 비해 월등히 부족한 우리나라의 현실을 감안하여 더 발전된 안목으로 미술품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도록 관람자를 이끌어 주는 역할을 담당해야 할 것이다. 또한 미술문화를 향유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서비스 정신을 가지고 수요자의 만족을 충족시킬 때 화랑의 활성화에 이어 미술시장을 활발히 하고 국가 경쟁력을 키울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In the 21st century, the so called century of culture, thanks to the development and popularization of internationally diverse array of arts and cultural activities, we can now enjoy a wealth of visual art, music, film and performance art. Amongst all of these cultural genres, especially, the genre of visual art, there is a rise in the importance of cultural service and the circulation of art. Further, an assessment of changes in the economic value of art work and the artistic value in the domestic art market has become essential to the development of the competitiveness of Korea's cultural industry.
However, the domestic art world is facing many difficulties in face of the unclear and unreasonable circulating structure as well as various habitual practices. In particular, it seems to be necessary for commercial art galleries that arein charge of the key part of the art circulation system to study the way of connecting artists and their collectors in new and more professional ways.
Therefore, in this thesis I discussed the problems and the roles of commercial art galleries, especially the problems of: securing collectors; exhibition planning; and sales since art work has the characteristic of being introduced and sold to collectors through exhibitions by art galleries.
And also I suggested some developmental business models for art galleries. The contents are as follows:
1. Methods of artist search and forms of artist support; the fundamental role of art gallery
2. Exhibitionplans and promotional plans that seek to make successful art exhibitions
3. The present state and characteristics of art fairs in terms of how they facilitate the making inroads into the international art market,
4. Finally there is an examination of the concept and present state of art consulting. By examining all these factors, looking into the activities of art galleries, which shows the most active movement in the market, I would like to make some possible solutions for the existing problems of art galleries and furthermore try to activate the art market.
Culture nowadays has become one of the main factors that enhance peoples' lives quality of life. Also since art has been applied to all requisites of human life such as food, clothing and shelter, it is no longer just a possession of some privileged group in society. It is needless to say that most collectors are art lovers in their 40s-50s whose financial situation is quite stable, however due to the expansion of the recognition of culture, the number of potential art collectors is expected to rise. Butsince interest in art usually appears in the highly educated segment of society, the supply of art work is greater than the potential market can absorb, due to limited buying power. The reason why the art market reacts sensitively to economic stagnation is because the market depends expressly on the buyers' income as well as their valuation of art. Therefore, when considering the fact that we do not have many museums in Korea, art galleries should take a greater role to help viewers enhance their appreciation of art so that they can better assess the value of contemporary art work. At the same time, they should be more active in their servicing collectors, attempting to satisfy their needs and desires, so that they could enjoy art and culture in a better way. By accomplishing these assignments, we can enliven art galleries and the Korean art market. In the end we will be able to develop our nation's competitive power.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