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혈모세포이식시 발생한 급성 비감염성 합병증 = Acute Non-Infectious Complications of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연구배경 : 조혈모세포이식시 발생하는 급성 비감염성 합병증이라 함은 고용량의 항암화학요법으로 인한 독성과 채집된 조혈모세포가 포함된 혈액을 중심정맥을 통하여 주사할 때 발생하는 부작용 및 이식된 조혈모세포가 골수에 생착하여 조혈기능이 정상화되기까지의 시기에 발생하는 감염을 제외한 모든 합병증을 말한다. 저자 등은 고려대 의료원 혈액종양내과에 내원하여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받은 환자들에서 발생한 급성 비감염성 합병증의 양상을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 1995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고려대 의료원 혈액종양내과에 입원하여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받은 45명(구로병원; 36명, 안암병원; 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동종 골수이식은 17명 ,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은 28명이 시행받았다, 저자 등은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받은 환자들의 급성 합병증으로 항암요법과 관련된 비혈액학적 독성(WHO기준), 조혈모세포가 포함된 혈액의 주사와 관련된 부작용, 골수생착시기에 발생한 비감염성 합병증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
1) 고용량 항암요법과 관련된 비혈액학적 독성 ; 자각증상으로는 오심 및 구토가 전례에서 발생하였으며 46.7%(21/45)에서는 gradeⅢ이상으로 심하였으며 이학적 소견으로는 점막염이 89%(40/45)로 가장 흔히 발견되었다. 기타, 간독성이 11.1%(5/45), 신독성이 6.7%(3/45)에서 관찰되었다. 고용량 항암요법과 관련된 치명적인 비혈액학적 독성(간의 정맥폐쇄증후군, cytoxan에 의한 심근독성)으로 4.4%(2/45)에서 사망하였다.
2) 조혈모세포가 포함된 혈액의 주사와 관련된 부작용 : 동종 골수 이식시 환자의 중심정맥을 통하여 이식된 조혈모세포가 포함된 혈액의 주사와 관련된 부작용은 매우 경미하였다. 자가 조혈모 세포이식시 말초혈에서 혈액성분 분리기를 통하여 채집한 후 냉동보호제인 DMSO와 10%의 농도로 혼합하여 냉동보존(-80∼-180℃)한 조혈모세포가 포함된 혈액을 40℃수조에서 해동한 후 환자의 중심정맥을 통하여 이식하였다. 그 결과 평균 용적이 커서 DMSO가 보다 많이 포함된 조혈모세포가 포함된 혈액을 이식받는 환자들에서 오심, 열감 및 오한, 구토, 혈뇨 등의 합병증이 호발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3) 골수 생착시기에 발생한 비감염성 합병증 : 동종 솔수이식 환자에서 골수생착시기에 해당하는 무균실 입원기간 중에 발생한 비감염성 합병증으로 급성 이식편대 숙주반응이 25%에서 발생하였으며 생착실패가 6.7%에서 관찰되었다. 급성 이식편대 숙주반응은 모두 grade Ⅰ,Ⅱ로 경미하였으며 생착실패를 보인 환자는 이식70일 만에 기존 백혈병이 재발되어 사망하였다. 자가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에서는 3예에서 자연생착이 관찰되었다.
결론 : 조혈모세포이식시 비감염성 급성 합병증으로 발생하는 항암요법과 관련된 독성, 조혈모세포가 포함된 혈액의 주사와 관련된 합병증, 골수생착기에 발생한 비감염성 합병증들은 빈도가 낮고 경하지만 치명적인 경우도 있었다.
Backgrou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ute non-infectious complications of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at the patients admitted to hemato-oncology department,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995 to September 1997.
Methods : Forty-five patients (17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28 autologous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were evaluated for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the acute non-infectious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such as regimen related toxicities, transfusion reactions of blood containing hematopoietic stem cells, complications associated whit engraftment.
Results :
1)Regimen-related toxicities : The patients complained the symptoms of nausea, vomiting, anorexia, diarrhea, fatigue, myalgia, arthralgia, sore throat, and febrile sensation. Mucositis was most frequently observed regimen related toxicity with the incidence of 89%(40/45). The other regimen related toxicities were liver toxicity (11.1%, 5/45) and renal toxicity (6.7%, 3/45). The fatal regimen related toxicities such as veno-occlussive disease and cardiomyopathy, were observed at two patients.
2) Transfusion reactions of blood containing hematopoietic stem cells : At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the transfusion of RBC depleted bone marrow blood were tolerable at all patients with minimal side reactions. At autologous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the side reactions such as nausea and vomiting (85.7%) febrile sensation(78.6%), abdominal pain(28.6%), hematuria (28.6%), dyspnea (14.3%), seizure (7.1%), and sudden death(3.6%), were observed during the transfusion of thawed blood containing hematopoietic stem cells mixed with DMSO for cryopreservation.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side reactions were assocaited with the transfusion volume and DMSO amount.
3)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engraftment : Graft failure associated with leukemia relapse was observed at 1 case of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and three patients, transplanted with autologous hematopoietic stem cells, experienced delayed engraftments. The incidence of acute GVHD in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was 25%(grade Ⅰ,Ⅱ). All patients with acute GVHD were successfully treated by cyclosporin A, methotrexate, steroid therapy.
Conclusion : The acute non-infectious complications of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occured infrequently, and the severity was mild. But, fatal outcomes associated with acute non-infections complications of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were observed rarely.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