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태권도 격파 선수와 지도자, 심판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판판정 인식에 대해 탐색하고 그 의견을 바탕으로 심판판정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유목적 표집방법을 활용하여 대회 참여 경험이 있는 대한태권도협회(KTA) 등록 선수 4명과 지도자 4명, 격파 상임 심판 4명 총 12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반구조화 질문지를 바탕으로 한 심층 면담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첫째, 대회에 참가하는 선수와 지도자는 격파심판의 판정에 대해 대부분 부정적으로 신뢰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판배정에서도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판판정의 객관성 저하가 심판판정에 대한 불신의 근본적 문제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격파 심판판정에 대한 문제점으로 심판 자격 및 능력, 심판 채점 기준을 언급하였다. 이는 선수와 지도자, 심판 모두가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격파 심판판정 인식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격파심판의 자격제도와 교육에 대한 개선, 기술 난이도 재정립, 영상판독 제도 개선 및 전문영상판독관 도입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선수와 지도자, 심판 등 대회 구성원 모두가 대회 규정 및 기술 난이도 재정립, 심판 교육 및 제도 개선 등을 합의하고 이해한다면 최종적으로 격파대회가 올바른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refereeing in Taekwondo by breaking athletes, coaches, and referees.
Through purposive sampling, 12 individuals affiliated with the Korea Taekwondo Association, including four athletes, four coaches, and four referees, were selected for in-depth interviews us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The findings revealed predominantly negative perceptions towards the judgment of referees, particularly in knockout rounds, and dissatisfaction with referee assignments among athletes and coaches. A key issue identified was the perceived lack of objectivity in referees' decisions, contributing to a general distrust in their judgment. Both athletes and coaches pinpointed concerns regarding referees' qualifications, abilities, and the criteria used for scoring in knockout rounds, a sentiment echoed across all participant groups.
To enhance the credibility and acceptance of refereeing decisions in Taekwondo, the study suggests several improvement measures. These include refining the referee qualification system, enhancing referees' education, redefining the parameters for technical difficulty, improving the video review process, and employing professional video reviewers. The conclusion posits that mutual understanding and agreement on competition rules, technical difficulty levels, and advancements in referee training and systems are crucial for the positive evolution of Breaking competition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