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태권도의 스포츠화: 파워태권도 도입에 따른태권도 선수의 참여 인식과 경험 = Sportification of Taekwondo: Taekwondo Athletes’Perspectives and Experiences in Power Taekwondo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English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5-77(13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최근 전자 호구가 도입된 태권도 경기는 점수 획득 위주와 방어 기술에 집중되어 관람의 재미가 감소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에 대응하여 새롭게 등장한 태권도 겨루기 대회인 ‘파워태권도’는 언론과 대중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으나, 실제로 이 종목에 참여한 선수들의 경험은 아직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파워태권도에 참여한 선수들의 인식과 경험을 탐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문서분석과 파워태권도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9명의 태권도 겨루기 선수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면담 자료는 주제 분석을 통해 해석되었다.
질적 주제 분석을 통해 도출된 세 가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연구 참여자들은 파워태권도의 도입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둘째, 파워태권도 참가자들은 화려한 기술 수행의 부담감을 느끼고, 일반 겨루기 대회에 비해 부상 위험이 더 높다고 우려했다. 셋째, 많은 선수들이 참여 의사를 표명했음에도 불구하고, 체급의 다양성 부족과 심판의 규칙 이해 부족으로 인한 경기 운영의 미숙함에 대해 우려했다.
이 연구는 태권도의 지속적인 스포츠화가 태권도 경기 발전에 기여한다는 것을 보여주지만, 예상치 못한 결과(예: 회전 발차기 수행의 부담, 부상 위험, 경기 규칙에 대한 낮은 이해도에 따른 경기 운영 미숙)을 드러내며, 이러한 측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와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recent introduction of an electronic scoring system in Taekwondo has been critiqued for diminishing spectator enjoyment due to its emphasis on scoring and defence. The 2021 introduction of ‘Power Taekwondo’, a new format receiving positive media and public attention, has yet to be fully explored in terms of athlete experience. The study aims to delve into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athletes involved in Power Taekwondo.
Drawing up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cluding document analysis, this article conducte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nine Taekwondo athletes experienced in Power Taekwondo. Thematic analysis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rough qualitative thematic analysis, this article identifies three main findings. Firstly, most participants viewed the introduction of Power Taekwondo favourably. Secondly, these athletes felt pressured to execute rotational techniques and were concerned about a higher risk of injury compared to standard competitions. Thirdly, although many athletes were keen to participate, concerns were raised about the inexperienced management of the competition, stemming from a lack of weight class diversity and referees’ limited understanding of the rules.
This article indicates that the ongoing sportification of Taekwondo aids its development. However, it also uncovers unintended consequences such as the pressure to perform complex kicks, increased injury risk, and inadequate comprehension of game rules, highlighting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and improvements in these area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