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가야금 산조 시김새 비교연구: 8개 유파 진양 중 우조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among the Sigimsaes in Gayageum Sanjo: focusing on Ujo of Jinyang in Eight School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5-179(35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Korean folk music, based on original scores in, is completed with ‘Sigimsae.’ ‘Sigimsae’ is an art to change a piece of Pansori into various kinds of voice forms and also appears in playing Sanjo, Korean folk instrumental music. Gayageum Sanjo is sorted into various forms of schools by Sigimsae, which makes the same music feel different with each player. So this study has each Sigimsae of Gayageum Sanjos analyzed and the Sigimsaes of each school compared, the musical features of each Sanjo organized. And then Jinyang parts of the eight most currently played Gayageum Sanjos are written and, most of all, focused on Ujo rhythm, the study is conducted.
The Sigimsaes on the scores are most analyzed in detail and it is explained how different the figures of each Sanjo are. Sunggeumryeon Ryu(style) is the most colorful with ‘voices lightly and quite greatly compiled and formed.’ Seogongcheol Ryu seems to be next to Sunggeumryeon Ryu with decent and pretty ‘voices slowly picked up and put in.’ Kimyunduk Ryu and Hwangbyungki Ryu are stronger than Seogongcheol Ryu with ‘voices properly pointed out at some marks.’ But Kimyunduk Ryu is milder than Hwangbyungki Ryu. With ‘voices made first normally and later daintily by being tightened’, Kimjukpa Ryu feels a little stronger than Hwangbyungki Ryu. Kangtaehong Ryu is monotonous with little Sigimsae, ‘voices spread out and hung.’ Kimbyeongho Ryu, seeing the score, seems to be right next to Seogongcheol Ryu, but much stronger with very little Sigimsaes playing and heavier than Kangtaehong Ryu, as ‘voices firmly tightening and shrinking down in to put an end on and cut themselves.’ Choioksam Ryu minimizes Sigimsae with ‘voices acutely and sharply rolled up and cut’ and is most strongly and sharply played.
Depending on Sigimsae, from the most colorful and cheerful to the heaviest and strongest sanjos, are in order Sunggeumryeon Ryu, Seogongcheol Ryu, Kimyunduk Ryu, Hwangbyungki Ryu, Kimjukpa Ryu, Kangtaehong Ryu, Kimbyeonho Ryu and Choioksam Ryu. By conducting another study added except Ujo and trying to compare and expand the Sigimsaes of Gayageum Sanjo, we could obviously identify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Gayageum Sanjo.
한국의 민속음악에서는 기존 악보를 기초삼아 ‘시김새’를 통하여 음악을 완성한다. ‘시김새’는 민속 성악곡인 판소리의 창법에서 여러 가지 기교로 변화를 주는 것인데 민속 기악곡인 산조의 연주법에도 함께 적용된다. 가야금 산조 역시 시김새에 따라서 넓게는 이름이 다른 여러 개의 유파들을 특징지을 수 있고 좁게는 같은 유파 안에서도 누가 연주했느냐에 따라 다른 분위기의 음악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연구사를 살펴보았을 때 가야금 산조의 연구는 음악적인 구조, 유파의 전승양상 등에 치우쳐져 있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가야금산조의 시김새를 분석하고 여러 유파 간 시김새 비교를 통해 각 산조가 가지고 있는 음악적 특징들을 정리했다. 현재 활발히 연주되고 있는 여덟 개 유파 가야금산조의 진양 부분을 채보한 후 그 중 우조의 공통된 장단에 한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음반에 담겨 있는 시김새들을 최대한 자세히 분석하여 산조마다 특색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비교했다. 성금련류가 연튕김, 개방현 사용을 많이 하면서 ‘엮는 목’과 같은 시김새로서 가장 화사한 산조임을 보여 주었고, 서공철류가 그 뒤를 이어 세밀한 시김새들, 즉 ‘줍는 목’으로서 아기자기한 맛을 주었다. 김윤덕류와 황병기류는 후반에 연튕김 대신 전성으로 ‘찍는 목’을 사용하여 서공철류 보다 강한 느낌을 주었는데 김윤덕류의 농현이 조금 더 부드러웠다. 김죽파류는 세 번째 마디의 눌러서 농현하는 첫 음을 ‘짜는 목’에 비유할 수 있는데 황병기류 보다 조금 더 강한 느낌이 드는 이유이다. 강태홍류는 시김새를 거의 쓰지 않고 뻗어나가는 담백한 선율로서 ‘너는 목’에 해당한다. 김병호류는 악보의 형태만 봐서는 서공철류 다음으로 나열할만하지만 두 번째 마디의 실제 연주되는 미분된 시김새들은 본음의 극대화를 위한 보조 역할을 하고 있어 매우 단단한 느낌을 준다. 또한 세 번째 마디의 2분음은 두 개의 음이 이미 악센트를 가지고 있으면서 각각 강세를 주는 전성과 꺾는 시김새를 가지고 있는 바 ‘조으는 목’으로써 강태홍류보다 더 단단하다. 최옥삼류는 시김새를 최소화하고 두 손가락으로 현을 잡아 뜯는 등의 힘 있는 연주법을 강조하는 ‘끊는 목’을 보이고 있어 단연 가장 힘 있고 날카롭게 연주되는 유파임을 알 수 있었다.
시김새가 화사하고 경쾌한 것부터 단단하고 힘 있는 산조로 순차적 나열을 하면 성금련류-서공철류-김윤덕류-황병기류-김죽파류-강태홍류-김병호류-최옥삼류 순이다. 우조 이외의 다른 부분의 추가연구를 통해 가야금 산조의 시김새 비교를 확장하면 여러 유파의 가야금 산조의 음악적 특성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3-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Music Institute of Ewha Womans University -> Ewha Music Research Institute | KCI등재 |
2015-02-2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wha Music Research Institute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8 | 0.28 | 0.2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4 | 0.26 | 0.543 | 0.0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