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南田 元仲植선생의 落款에 보이는 雅號 고찰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99-540(42쪽)
KCI 피인용횟수
3
제공처
落款은 작품을 완성한 다음에 작가가 자신의 이름과 작품에 관한 설명을 기술하고 印章을 찍는 것을 가리킨다. 낙관은 크게 낙관 글씨와 印章으로 구분되는데, 낙관글씨에는 그 작품에 대한 기본 정보를 기록하고 낙관인장에는 주로 작가의 아호와 성명을 새긴 인장을 포함한다. 현재까지 정리된 南田 元仲植(1941-2013)선생의 낙관 글씨와 인장에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한 아호들을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낙관 글씨와 인장을 분석하여 다양하게 불리던 그의 아호들을 새롭게 찾아내고 아호들의 사용연대를 구체적으로 고증해 보았다. 1. ‘南田’이란 아호는 인천 ‘桂陽山’의 다른 이름인 ‘安南山’에서 취한 것으로, 1963년 제12회 국전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劍如선생에게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줄곧 사용하였으며, 아호 뒤에 ‘散人’, ‘學人’, ‘山人’, ‘居士’를 추가하기도 하였다. 2. 堂號는 크게 서실, 거주지, 흠모하는 인물, 좌우명 관련 등의 4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서실 관련 당호로는 ‘劍如書院’(혹은 ‘劍如書樓’), ‘典農書室’(혹은 ‘典農書巢’, ‘典農揅墨室’, ‘揅墨會室’, ‘拜峰書室’), ‘墨耕書室’, ‘柴溪書巢’(혹은 ‘柴溪書室’, ‘柴溪書樓’) 등이 확인되는데, 이는 자신이 소속되거나 지도한 서실의 당호이다. 거주지 관련 당호로는 ‘東九山房’(혹은 ‘東九艸廬’), ‘淸溪山居’, ‘美山洞天’, ‘開仁軒’, ‘美山開仁軒’, ‘開仁山房主’, ‘活水齋’, ‘美山活水齋’(혹은 ‘美山活水齋主人’), ‘美山活秀山房’, ‘美山天然山房主’, ‘豊雪軒’, ‘美山豊雪軒’(혹은 ‘美山豊雪軒主’), ‘朝陽廔’, ‘束艸朝陽廔’, ‘快雪軒’, ‘束艸快雪軒’, ‘花浦書樓’(혹은 ‘華浦書樓’), ‘花浦竹亭書樓’(혹은 ‘華浦竹亭書樓’), ‘花浦竹亭書菀’(혹은 ‘華浦竹亭書菀’), ‘菁莪書樓’(혹은 ‘花津菁莪書樓’), ‘松竹齋’, ‘松茂竹苞齋主人’ 등이 확인된다. 흠모하는 인물 관련 당호로는 ‘阮劍齋’(혹은 ‘阮劍齋主’, ‘阮劍齋主人’)가 확인되며, 좌우명 관련 당호로는 ‘鈍齋’, ‘頓悟齋’ ‘不染亭’, ‘自怡軒’ 등이 있다. 3. 낙관글씨에서 아호와 이름은 초서체를 주로 쓰고 해서 혹은 행서로 쓴 것은 극소수에 지나지 않는다. 낙관글씨에서 ‘南’의 자형이 1995년 정월을 기점으로 완전히 변화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각 시기별로 자형의 변화에 차이가 있어 이를 통해 작품연대를 추정할 수 있다. 4. 화진포 자택과 시계서실에 보관된 전각작품 중에서 성명인과 아호인 76점을 선별하여 고찰하였다. 이들의 印文과 側款을 판독하고 분류하여 인문에 보이는 성명인과 아호인의 조합을 6개로 분류하고 측관의 내용을 판독하여 새긴 연대를 고증하고 표로 제시하였다. 5. 남전선생의 작품을 2기 5단계로 구분하고, 각 시기별로 주로 사용된 아호와 인장의 특징, 변화양상을 정리하여 제작연도가 표기되지 않은 작품들을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동안 전시도록에 소개된 일부 아호와 당호에 대해서만 인지하였을 뿐 남전선생이 생전에 사용하였던 다양한 아호들의 특징과 사용연대를 명확하게 분석하지 못하였다. 본고의 고찰을 통해 남전선생의 아호는 물론 그 작품성향과 작품연대를 좀 더 명확하게 추정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Nakgwan (落款) refers to an artist writing his name and explanation about his work after completing it and then affixing a seal on it. Nakgwan is largely divided into nakgwan words and the seal. Nakgwan words contain basic information about the work, and the seal mainly includes the artist’s name and pen name. From Namjeon Won Jungsik(南田 元仲植; 1941-2013)’s nakgwan words and seals presently being organized, we can find his pen names used in various for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is nakgwan words and seals to find out diverse pen names of his newly and ascertain the years of their use precisely. 1. His pen name, ‘Namjeon(南田)’, originated from ‘安南山(Mt. Annam)’, another name of ‘桂陽山 (Mt. Gyeyang)’ located in Incheon. Presumably, he received it from Sir Geom Yeo (劍如) while preparing for the 12th National Art Exhibition in 1963. He used it continuously after then, and he also added ‘散人(Sanin)’, ‘學人(Hakin)’, ‘山人(Sanin)’, ‘居士(Geosa)’, too, after it. 2. Dangho(堂號) can be largely divided into four parts: the workshop, address, the person he looks up to, and motto. As dangho related to his workshop, we can find ‘Geomyeoseoru(劍如書樓)’, ‘Geomyeoseowon(劍如書院)’, ‘Jeonnongseosil (典農書室), ‘Jeonnongseoso(典農書巢)’, ‘Jeonnongyeonmuksil (典農揅墨室)’, ‘Yeonmukhuisil (揅墨會室)’, ‘Beabongseosil(拜峰書室)’, ‘Mukkyeongseosil (墨耕書室), ‘Sigyeseoso(柴溪書巢)' etc. This is the dangho of the workshop which he belongs to or teaches in. As dangho related to his address, we can see ‘Dongguchoryeo(東九艸廬)’, ‘Cheonggyesangeo(淸溪山居)’, ‘Misandongcheon(美山洞天)’, ‘Gaeinheon(開仁軒)’, ‘Gaeinsanbangju(開仁山房主)’, ‘Hwalsujae(活水齋)’, ‘Misanhwalsujae(美山活水齋)’, ‘Misanhwalsujaejuin(美山活水齋主人)’, ‘Misanhwalsujaeju(美山活水齋主)’, ‘Misanhwalsusanbang(美山活秀山房)’, ‘Pungseolheon (豊雪軒)’, ‘Misanpungseolheon (美山豊雪軒)’, ‘Misanpungseolheonju(美山豊雪軒主)’, ‘Misanchenyeosanbangju(美山天然山房主)’, ‘Joyangru(朝陽廔)’, ‘Sokchojoyangru (束草朝陽廔)’, ‘Sokchokwaeseolheon (束草快雪軒)’, ‘Hwaposeoru(花浦書樓)’, ‘Hwaposeoru(華浦書樓)’, ‘Hwapojukjeongseoru (花浦竹亭書樓)’, ‘Hwapojukjeongseoru (華浦竹亭書樓)’, ‘Hwapojukjeongseowon(花浦竹亭書菀)’, ‘Hwapojukjeongseowon (華浦竹亭書菀)’, ‘Cheongaseoru(菁莪書樓)’, ‘Songjukjae(松竹齋)’, ‘Songmujukpojuin (松茂竹苞齋主人)’ etc. As dangho related to a person he respects, we can find ‘Wangeomjae(阮劍齋) or ‘Wangeomjaeju(阮劍齋主)’, ‘Wangeomjaejuin(阮劍齋主人)’, and as dangho related associated with his motto, we can see ‘Dunjae(鈍齋)’, ‘Donojae(頓悟齋)’ ‘Bulyeomjeong(不染亭)’, or ‘Jaiheon(自怡軒)’. 3. In his nakgwan words, his names and pen names are mainly written as Choseoche, and what are written as Haengseo are only few. In his nakgwan words, the form of ‘Nam(南)’ is changed completely from the first month of 1995. Also, the form of a word changes by time, so we can estimate the year that his work was made by that. 4. This researcher selected and examined 80 or so his name and pen name seals among the seal works preserved in his Hwajinpo house. After reading and classifying their Inmun(印文) and Cheukgwan(側款) and classifying the combinations of his name and pen name seals found in their Inmun, this author figured out the contents of Cheukgwan and ascertained the era carved and presented them in a table. 5. Dividing Sir Namjeon’s works by 2 eras and 5 steps and arranging the characteristics of pen names and seals mainly used in each period and the aspects of their changes, this researcher suggested criteria to figure out works without the year that they were made in objectively. So far, researchers have recognized only some of the pen names or dangho introduced in exhibition work books but fail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diverse pen names of his Sir Namjeon used in his lifetime and the years of their use clearly. Through consideration here, this study has laid the foundation to estimate not only Sir Namjeon’s pen names but also the features of his works and the year that a work was made more accurately.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8 | 0.48 | 0.4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4 | 0.42 | 1.058 | 0.1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