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메타버스를 활용한 유통 플랫폼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대한 개인혁신성의영향: 기술수용모델에 기반한 연속다중매개효과 검증 = The Influence of Personal Innovativeness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Metaverse as a Distribution Platform: Verification of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Effect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2(32쪽)
제공처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델을 바탕으로 소비자에 대한 유통 플랫폼으로서 메타버스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선행요인을 제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메타버스 사용 과정에서의 소비자의 심리적 메커니즘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메타버스와 관련한 소비자들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구체적인 선행요인으로 개인 혁신성을 설정하였다.
나아가 소비자의 개인 혁신성과 유통 플랫폼으로서 메타버스의 지속적 사용의도 사이에 소비자의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이용용이성, 관계품질이 연속으로 매개되는 심리적 매커니즘이 존재할 것으로 본 연구에서 예측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한 가설 및 연구모델을 설정하고, 온라인 설문조사 전문기관을 활용하여 메타버스를 활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을 분석한 결과, 개인 혁신성은 지각된 유용성과지각된 이용 용이성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으며,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이용 용이성은 관계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확인되었다. 나아가 관계품질은 유통 플랫폼으로서의 메타버스에 대한 지속적 사용의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개인 혁신성과 유통 플랫폼으로서 메타버스의 지속적 사용의도 사이에 소비자의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이용용이성 각각으로부터 관계품질을 연속으로 매개하는 경로의 두 가지 심리적 메커니즘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Purpose: In the retail industry,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utilizing the metaverse as a distribution platform.
However, academic discussions on the metaverse as a distribution platform are still in the early stages. This studyaims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the metavers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tail industry and address thelimitations of previous research. Specifically,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we propose specificantecedent factors that influence consumers'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metaverse as a distribution platformand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processes involved to identify the underlying mechanisms. To this end, thisstudy examines how consumers' personal innovativeness affects their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metaverse asa distribution platform. Additionally, our study explores whether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relationship quality have a serial multiple mediation effect between personal innovativeness and the intention tocontinue using the metaverse as a distribution platform. Through these empirical analyses, our study aims toprovide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utilizing the metaverse as a distribution platform.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hypotheses and a research modelwere develop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dditionally, 522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consumers withexperience using the metaverse as a distribution platform through an online survey agency. Structural equationmodeling was employed to test the hypotheses, while the PROCESS macro analysis method was used to examine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effects.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hypotheses revealed that personal innovativeness positively affected both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and that both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positively influenced relationship quality.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relationship quality increased theconsumers’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metaverse as a distribution platform. Finally, two psychologicalmechanisms were identified: one path where perceived usefulness and relationship quality sequentially mediated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innovativeness and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metaverse as adistribution platform, and another path where perceived ease of use and relationship quality sequentiallymediated this relationship.
Conclusions: This study offers variou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irst,our study expands the scope of research by conducting an empirical study on utilizing the metaverse as adistribution platform. Second, our study confirms the psychological process by which consumers' personalinnovativeness affects their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metaverse as a distribution platform, thereby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consumer behavior in accepting and continuously using the metaverse. Third, ourstudy introduces a research differentiation by replacing the technology-related attitude in the technologyacceptance model with relationship quality. Fourth, our findings confirm that personal innovativeness is crucialfor increasing the intention to continuously use the metaverse as a distribution platform, and our study alsodiscusses practical methods based on these result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