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OpenAccess식민지 시대 교지 『이화』연구 = Study on Ewha, School Journal, in Colonial Era
저자
박지영 (성균관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1-78(48쪽)
KCI 피인용횟수
12
제공처
This paper is to explore how intellectual women in colonial era(1929-1938) pursued their self identity and how they accepted and reproduced ideas and knowledge through a school journal Ewha. Ewha was virtually the only medium that intellectual women could express their own opinions in colonial era. Other media were all male dominated that it was almost impossible for women to give voice to their opinions through the media. As Ewha was the female dominated journal, Ewha is a good source to look into two aspects: production of intellectual women by the colonial education and those women's reaction. Although the number of journalists at Ewha was small, they later took journalist positions at major media such as Women, Samchunri, and Chokwang in the 30s. Considering these, it is right to say that Ewha served as a medium that enabled Korean women in modern times to accept and reproduce knowledge. Thus Ewha is worthwhile to examine in order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Korean intellectual women's acceptance of knowledge.
It was seen through Ewha that the students at Ewha Women's College had a very high opinion of themselves that this made them feel an obligation to help their society and, at the same time, a longing for success. They, for example, felt responsibility to enlighten uneducated women. They adapted an attitude of asceticism and self-sacrifice, deeply influenced by their education at Ewha Women's College, a mission school. They also displayed self-confidence that they could accept and produce advanced knowledge. This is seen in the high quality writings in Ewha.
They accepted and reproduced various knowledge such as domestic science, physics, literature and ideologies through Ewha. However, by the mid 30s, their acceptance of the ideologies of 'angel in the house' and female sexuality were shown in domestic science as well as biological discourse. Moreover, they were obsessed with the idea of being a 'superwoman' as they could not totally abandon the desire of personal fulfillment.
Furthermore, the way the intellectual women accepted knowledge seemed to be neither productive nor active. The articles in Ewha showed their advanced knowledge but unfortunately they did not go further other than conveying objective knowledge to the readers. The academic inclination toward 'domestic science' in Ewha was a unique characteristics which distinguished it from Yeonhee or Shinghung whose main discourses were political ideologies and cultural nationalism. This shows that the division of sexual realms existed in academic studies as early as the 30s.
Despite all those negative aspects of Korean intellectual women in colonial era, it cannot be denied that their knowledge and ambition were as wide and strong as those of male intellectuals. Their literary works are a good example. The passive discourse viewed in articles was not seen in literary works. Rather, they depict the vigorous pursuit of the meaning of the existence, which reveals the progression of colonial literature. Overall, Korean intellectual women in the 30s ceaselessly pursued knowledge in wide range of subjects.
본고는 교지 『이화』를 통해서 식민지 시대(1929-1938) 최고의 인텔리 여성들이 지향했던 자기 정체성과 그들이 수용하고 재생산했던 지식과 이념의 형상에 대하여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고찰이 가능했던 것은 식민지시대 교지 『이화』가 당대 최고의 지식인 여성들이 자기 목소리를 드러낼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매체였기 때문이다. 남성 중심적인 다른 매체에서는 여성들의 주체적인 목소리를 내기가 어려웠고, 반면 교지 『이화』는 여학생이 주체가 되어 꾸려가는 매체였다. 그래서 교지 『이화』는 식민지 시대 제도 교육이 당대 인텔리 여성들을 어떻게 구성해갔으며, 또 주체들의 대응은 어떠하였는지를 살펴볼 수 있게 한다. 또한 교지 『이화』의 필자들은 소수이지만, 이후 『여성』, 『삼천리』, 『조광』 등 30년대 주요 매체의 필자로 활동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다면 교지 『이화』는 한국 근대 여성들이 지식을 수용하고 재생산해 나가는 데 중요한 매개체로서 한국 근대 여성 지식 수용사를 연구하는 데 필요한 연구 대상이 된다.
『이화』를 살펴보면, 그들은 기독교 여성 교육이라는 환경 아래 금욕주의적 인격과 자기 희생적 태도를 지향하였다. 또한 이화여전 여학생들은 최고 여성교육을 받는다는 자부심이 대단했고 그만큼 민족(사회)에 대한 의무감과 성공에 대한 열망이 강했다. 그래서 민족을 위해서 배우지 못한 여성들을 계몽해야한다는 의무감을 가졌다. 더 나아가 그들은 전위적 지식의 생산과 수용의 주체가 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이화』에 실린 수준 높은 글들이 증명하는 것이다.
이들은 교지 『이화』를 통해서 가정학, 과학, 문예, 사상 등 다양한 지식체계를 수용하고 재생산해 나갔다. 그러나 지식 생산의 주체가 되고자 하는 자유로운 열망들은 30년대 중반부터는 여성성을 규정하는 생물학적 담론과 가정학을 수용하면서 당대의 보수적 성적 담론과 현모양처 사상으로 굴절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게다가 사회적 자아실현에 대한 욕망도 버리지 못해 ‘슈퍼우먼’이 되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갖게 된다.
그리고 이들이 지식을 수용하는 태도는 그다지 주체적이거나 생산적이라고 볼 수는 없다. 『이화』에 실린 글들의 내용은 첨단의 근대적 지식이기는 했지만, 그 글쓰기 방식은 단지 지식을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차원에 그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화』에 실린 ‘가정학’이라는 여학교 특유의 학문적 경향은 『연희』, 『신흥』 등에서 나타나는 이념이나 민족주의 문화담론과 구별되는 특성이다. 이는 이미 1930년대 학문적 연구에도 성별 역할 분담이 이루어지고 있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지식 수준이나 욕망이 적어도 남성 지식인들 못지않은 다양성과 깊이를 담보하려고 했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었다. 특히 문학란의 작품들을 보면 이러한 점이 더욱 구체적인 형상으로 다가온다. 문학에는 논설문에서는 드러났던 순응적 담론을 찾아볼 수 없었다. 오히려 존재에 대한 치열한 모색이 돋보였다. 이는 식민지 시대 문학이 갖는 진보성을 증명해주는 점이기도 하다.
이처럼 30년대 지식인 여성들은 다양한 주체적 욕망을 가지고 이를 실현하려고 애썼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6 | 0.76 | 0.9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 | 0.78 | 1.791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