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최남선의 시문독본 원전 연구 - 새로운 원전의 발굴과 수용 방식의 특질 정리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Original Text of Si-Mun Dok-B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9-44(26쪽)
제공처
Choi Nam-seon’s Si-Mun Dok-Bon, which was first published in 1916, is a representative sentence education textbook of modern times in Korea. In this paper, we traced the origin of ‘Si-Mun’, which is one of the core of the discussion of Choi Nam-seon’s Si-Mun Dok-Bon, and discussed its meaning and usage. In addition, 26 Japanese original works included in Si-Mun Dok-Bon, whose sources were unknown, were newly discovered and organized.
Most of the original authors of the works included in Si-Mun Dok-Bon are intellectuals representing various fields such as thinkers and writers representing modern Japan. Choi Nam-seon did not translate the first original text containing the writings of these original authors as a translation script. Choi Nam-seon edited and translated the sentences based on the edited version of most of the textbooks published in Japan.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lated sentences of Si-Mun Dok-Bon is that short, concise sentences are changed into long sentences. This is the result of translation tailored to the tastes of intellectuals who were accustomed to writing long sentences at the time.
When comparing the original Japanese text and the translated text, the most notable feature of the content is that the descriptions related to Japan in the original text are deleted or replaced with other content. The description revealing that the author of the original text was Japanese was also deleted. One of the other content-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translation of Si-Mun Dok-Bon is that so-called localization phenomenon occurs in the translation process. In some cases, new content is added that is not in the original text. In some cases, Japan in the original text is translated by changing it to ‘Oriental’. In addition, there are cases where place names or people’s names in the original text were hidden or changed to ambiguous expressions.
What was important to Choi Nam-seon was not the original text itself. Rather, he remade them into Korean sentences and delivered them. To achieve the purpose of publication, Choi Nam-seon carried out the revision work ‘without hesitation’.
1916년 초판이 발행된 최남선의 시문독본은 근대의 대표적인 문범서로서 청년들의 작문교육과 정신 수양에 큰 역할을 해온 저작물이다. 본 논문에서는 최남선의 시문독본 논의의 핵심 가운데 하나인 ‘시문’의 기원에 대해 추적하고, 그 의미와 용례에 대해 논의했다. 아울러 그동안 출처를 전혀 알 수 없었던 시문독본 수록 작품 26편의 일본어 원전을 새롭게 발굴 정리했다.
시문독본에 수록된 작품들의 원작자는 대부분 일본의 근대를 대표하는 사상가와 문학가 등 각계를 대표하는 지식인들이다. 그런데 최남선이 이들 원작자의 글이 수록된 최초의 원전을 번역 대본으로 삼아 번역한경우는 많지 않다. 최남선은 대부분 일본에서 출판된 독본류 교과서에 실린 편집본을 저본으로 삼아 시문독본의 문장들을 편찬 번역했다. 시문독본 소재 번역 문장의 특징 가운데 하나는 원문의 단문 중심 간결체문장을 복문 중심 만연체 문장으로 바꾸어 놓은 것이다. 이러한 형식의 변화는 당시 긴 호흡의 문장 쓰기에익숙한 지식인들의 기호에 맞춘 번역의 결과로 보인다.
일본어 원문과 번역문을 비교했을 때 가장 두드러진 내용상의 특징은 원문의 일본과 관련된 서술이 삭제되거나 다른 내용으로 대체된 점이다. 원문의 저자가 일본인이라는 사실이 드러나는 서술 역시 삭제되었다. 시문독본 소재 번역문의 또 다른 내용상 특질 가운데 하나는 번역과정에서 이른바 현지화 현상이 일어난다는것이다. 예를 들면 도량형의 단위나 친척의 호칭, 지명의 현지화 현상 등이 일어난다. 이러한 현지화 현상은일부 번역 사례에서는 원문 내용에 대한 역자의 적극적인 개입을 통한 변용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원문에는없는 내용이 새롭게 추가되는 것이다. 원문의 일본이 ‘동양’으로 대체되는 현상도 발견된다. 그 밖에 원문에 쓰인 구체적인 지명이나 인명을 번역문에서는 일부러 감추거나 모호한 표현으로 바꾸어 놓은 사례도 있다. 이는문장의 난이도를 고려하여 조선에서는 다소 생소한 내용과 정보를 배제하거나 변환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
시문독본의 번역 방식과 태도는 요즘 번역자들의 번역 태도와는 분명히 차이가 있다. 이는 당시 번역자들의 인식이 지금과 다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근본적으로 시문독본이 ‘文章之指針’ 즉 우리 글의 문범서로 엮인 책이기 때문이다. 최남선에게 중요했던 것은 원전 그 자체가 아니라 이를 우리 글로 다시 만들어 전달하는일이었다. 최남선은 시문독본의 편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원전에 거리낌이 없이’ 가감 작업을 수행했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