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 Research on the Use of Generative AI for Korean Writing Strategy Educa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63-489(27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고는 생성형 AI를 활용한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의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쓰기 교육에서 쓰기 전략의 개념과 교육 내용에 대해 밝히고 그에 따른 생성형 AI에 대한 전략으로서 가치를 평가했다. 현 시대의 생성형 AI가 가지는 한계를 명확히 파악한다는 전제하에 생성형 AI를 쓰기 전략 교수-학습을 위한 도구로 활용하는 것이 교육적으로 가치가 있음을 주장했다. 본고는 생성형 AI이 쓰기 전략 교수-학습에 있어 가치가 있음을 밝히기 위해 교육 분야에서의 생성형 AI 활용과 관련된 연구와 생성형 AI를 활용한 글쓰기와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았다. 해당 연구들을 통해 생성형 AI를 활용한 글쓰기가 막을 수 없는 시대의 흐름임을 파악할 수 있었고 따라서 교육 분야에서 생성형 AI 등장에 따른 교수-학습 방법론의 변화와 글쓰기 교육에서 전략 교육의 변화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따라서 쓰기 교육 연구 역시 교육 현장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교수자나 학습자 모두 교육적으로 좋은 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돕는 방안을 제안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했다.
이에 본고는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전략을 교육하는 데 있어 가능한 접근법을 쓰기 교육 단계에 맞춰 ‘전-중-후’로 나누어 제시했다. 쓰기 전 단계에서는 ‘주제 선정하기’와 ‘주제에 대한 접근 방식 고려하기’ 전략을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되는 프롬프트 작성법에 대해 제안했다. 쓰기 단계에서는 실제 수업 시간에 활용된 방안을 소개하는 것을 통해 ‘쓰기 모니터링하기’와 ‘조정 기술 사용하기’ 전략의 학습이 가능한 생성형 AI 활용법에 대해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쓰기 후 단계에서는 글의 응집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하였다. 다만 본고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한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이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데에는 본 연구에서 삼은 교육 대상이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이기 때문이다. 유학생은 한국어를 학습하는 과정에 있으며, 따라서 한국어를 모어로 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쓰기 교육과는 교육 목적에 차이가 있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쓰기 교육에는 합목적성과 그에 따른 장르적 지식이 명확하게 제시된다. 따라서 모어 화자 대상의 글쓰기 교육과는 접근이 다를 수밖에 없다. 즉, 생성형 AI를 활용한 쓰기 전략 교육에는 명확한 한계가 있기에 앞으로도 기술의 발전과 그에 따른 교육 방법론적 발전이 요구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plan for teaching Korean writing strategies using generative AI. To this end, the paper clarifies the concept and content of writing strategies in writing education and evaluates the value of generative AI as a strategy. Based on the premise of fully understanding the limitations of current generative AI, it argues that using generative AI as a tool for teaching and learning writing strategies has educational value. To demonstrate the value of generative AI in teaching writing strategies, this paper reviews research related to the use of generative AI in education and studies related to writing using generative AI. Through these studies, it was recognized that writing using generative AI is an inevitable trend in the current era. Therefore, the changes 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ies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the changes in strategy education in writing instruction brought about by the emergence of generative AI are natural phenomena. Accordingly, this paper confirms the necessity for writing education research to propose methods that help both instructors and learners produce educationally valuable outcomes using generative AI in educational settings.
In this regard, this paper presents possible approaches to teaching strategies in Korean writing education, divided into three stages: "pre-writing," "during writing," and "post-writing." In the pre-writing stage, the paper proposes prompt-writing techniques that help in learning strategies such as "selecting a topic" and "considering approaches to the topic." In the writing stage, it introduces methods utilized in actual classroom settings to suggest ways to use generative AI to learn strategies like "monitoring writing" and "applying adjustment techniques." Finally, in the post-writing stage, the paper discusses ways to enhance the coherence of the text.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rgument for the feasibility of using generative AI in Korean writing strategy education in this paper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study targets foreign learners of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are in the process of learning Korean, and thus, the educational objectives differ from those of writing education for native Korean speakers. Korean writing education for foreigners clearly presents purposes and the corresponding genre knowledge. Therefore, the approach differs from that of writing education for native speakers. In other words, there are clear limitations to using generative AI for teaching writing strategies, and continuous advancements in technology and corresponding pedagogical development will be required in the futur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