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입법관료의 의사규칙 관련 권한과 대의민주주의: 미국의회 의사규칙자문관(Parliamentarian) 사례의 시사점 = Legislative Bureaucrats’ Role on Legislative Rules and Procedures and Its Implications to Representative Democracy: the Case of U.S. Congressional Parliamentarians
저자
임성호 (경희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9-94(26쪽)
제공처
소장기관
This paper argues that, contrary to what some critics allege, the rising political influences of U.S. congressional parliamentarians as legislative rule referees help to mature American representative democracy. The parliamentarians’ discretionary authority, which is a natural product of party dynamics, promotes such crucial values as non-partisanship, non-arbitrariness, stability, and consistency in the U.S. Congress. It also lessens institutional conflicts of interest, and contributes to completing a multifaceted character of representative democracy. Furthermore, it aesthetically appeals to citizen spectators and boosts their senses of political efficacy and trust. The positive roles of U.S. parliamentarians send comparative implications relevant to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representative democracy, far from being a narrow stage monopolized by elective politicians, calls for bigger roles of non-elective actors in order to be balanced and harmonious. In particular, high-ranked legislative bureaucrats need to be authorized to make neutral referees’ final calls on interpreting and applying legislative rules and procedures.
더보기이 글은 비선거직 입법관료인 미국의회 의사규칙자문관의 영향력 증대가 대의민주주의를 침해한다는 일각의 비판은 적절하지 않고 오히려 미국 대의민주주의의 성숙을 도모해준다는 점을 여러 근거로 밝힌다. 의사규칙자문관의 영향력은 첫째, 정당정치의 자연스러운 산물이고, 둘째, 비정파성, 비자의성, 안정성, 일관성 등 입법과정의 여러 가치를 제고하고, 셋째, 제도적 이해충돌의 여지를 줄이고, 넷째, 대의민주주의 이상의 다면성, 총체성을기하고, 다섯째, 정치미학 차원에서 유권자의 정치적 효능감과 신뢰감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정당화 논리는 한국국회에도 적용될 수 있는 일반적 시사점을 낳는다. 즉, 대의민주주의를 선거직 정치인의 독점적 영역으로 보지 말고 비선거직 행위자들의 역할을 넓게 인정할 때 조화롭고 균형 잡힌 대의민주주의를 추구할 수 있다는 점, 특히 의회 의사운영의규칙과 절차를 의원들에게만 맡기지 말고 입법관료가 중립적으로 해석, 적용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 받을 수 있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