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남원 교룡산성의 변천 과정과 고고학적 가치 = Transformation of Namwon Gyoryongsanseong Fortress and Its Archaeological Valu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7-93(37쪽)
제공처
This thesis, which investigates the alterations to Namwon Gyoryong Fortress—the greatest defensive structure in Honam and a prominent strategic location—based on the investigation's findings—presents the archaeological value of Gyoryong Fortress. It is well known that Namwon Sogyeong was founded around urban area, where Gyoryongsanseong Fortress is located, in March 685 (under King Sinmun 5), and that regional capital fortress was constructed in 691.
Namwon Sogyeong established an urban area at that time that used a land division in grid pattern similar to that of the capital and constructed regional capital Fortress at the location of Namwoneupseong in the Joseon Dynasty to use it as a main space. Gyoryongsanseong Fortress was constructed behind it. Wansanju and Mujinju also indicate the period city layout integrating regional capital Fortress and Background Mountain Fortress erected on flat land.
A State fortress (州城=治所城) was constructed in the flat city region of Wansanju and Mujinju at that time, and a Sukchuk fortress was constructed from the behind, resulting in a scenery that was distinct from other counties and prefectures. It is thought that under rigorous governmental control, this design wascreated especially for capital and minor areas. In instance, Donggosanseong Fortress in Jeonju, which wasconstructed by Wansanju, and Gyoryong Fortress have homogeneities in many ways. The manner of employing the terrain and the design of auxiliary facilities in the fortress are similar, and it is categorized as a massive fortress with a height of 1,000m or more that is useful for safeguarding water supplies and long-term agriculture.
Above all, it is remarkable that the initial fortress wall of Gyoryongsanseong Fortress used the same construction technique. Foundation stones were placed at the bottom of the outer wall to preserve the fortress wall's strength and stability, and square or rectangular fortress stones were appropriately piled. Other locations, such as Gunhyeonseong and Gyeongju Gwanmunseong(722), which are assembled in Wansanju and Mujinju, may be discovered using this common building technique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Gyoryongsanseong Fortress, the circular lan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continued to serve as an access point throughout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while joining forces with Chisoseong Fortress in the flatland and Background mountain Fortress. It is believed that it was in use during the Goryeo Dynasty's last years, when the anti-mongol struggle and Japanese invasion was at its height. It was run in accordance with the conditions of the time and the country's fortress entrance strategy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current Gyoryong Fortress was finished in the early 18th century after being rebuilt and refurbish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lthough it was later discovered that its original structure was constructe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ccording to the preceding information, Gyoryongsanseong Fortress was first constructed in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was used until the Joseon Dynasty. Particularly, original fortress walls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served as the foundation for the fortress walls that were restored and refurbished in other ages, and these fortress walls represent the fortification methods and historical experiences appropriate for each era. Through examination and research on Gyoryongsanseong Fortress, which includes the identity of the Namwon area, it is anticipated that the traits and traits of each era will be recognized in solid in the future.
이 글은 그간에 조사성과를 토대로 남원 교룡산성의 변화상을 살펴보고, 호남 제일의 요해지(要害地)이자 방어시설인 교룡산성의 고고학적 가치를 제시하였다.
주지하다시피 교룡산성이 위치한 남원 시가지(市街地) 일대는 685년(신문왕 5) 3월에 남원소경(南原小京)이 설치되고, 691년에 소경성(小京城)의 축성이 이루어졌다. 당시 남원소경은왕경과 닮은 격자형의 토지구획을 적용한 시가지를 조성하고, 조선시대의 남원읍성(南原邑 城) 자리에 소경성(治所城)을 축조하여 중심공간으로 활용하였다. 그리고 그 배후에 교룡산성을 축조하였다. 평지에 축조된 소경성과 배후산성(背後山城)을 조합한 당시의 도시계획은 완산주(全州)와 무진주(武州)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당시 완산주와 무진주에는 평지 시가지의 중심공간에 주성(州城=治所城), 배후에 석축산성을 축조하여 일반군현과 차별화 된 경관을 연출했다. 이러한 형태는 국가의 엄격한 관리하에 주‧소경에만 특화하여 정비된 것으로 이해된다. 특히 완산주의 배후에 축조된 전주 동고산성은 교룡산성과의 여러 속성에서 동질성이 간취된다. 1,000m 이상의 대형급 산성으로 분류되며, 수원확보와 장기간의 농성에 유리한 포곡식 산성으로서 성내 지형의 활용방식과 부대시설의 배치양상이 닮아 있다.
무엇보다 주목되는 점은 교룡산성의 초축 성벽과 동일한 축성법이 적용된 점이다. 성벽은내구성과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외벽 기저부에 지대석(地臺石)을 배치하고, 방형 또는 장방형으로 가공된 성돌을 바르게 들여쌓았다. 이와 같은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축성법은 완산주와 무진주에 편제된 군현성(郡縣城)과 경주 관문성(722)을 비롯한 타 지역에서도 확인할수 있다.
고려와 조선시대에 교룡산성은 통일신라시대의 원형인 평지 치소성과 배후산성이 하나의조(組)를 이루면서 입보용(入保用)의 기능을 유지하였다. 고려시대에는 대몽항쟁기와 왜구의침입이 본격화되는 고려 후기에 활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시대에는 국가의 산성입보전략에 따라 시대적 상황에 맞게 운영되었다. 현존하는 교룡산성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이후18세기 초반에 수‧개축되어 완성되었지만, 그 원형은 통일신라시대에 갖춰진 것임을 알 수있었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교룡산성은 통일신라시대에 초축되어 조선시대까지 시대적 상황에 맞게 활용되었다. 특히 통일신라시대의 초축 성벽은 시대를 달리하여 수‧개축되는 성벽의근간이 되었으며, 이러한 성벽에는 각 시대에 맞는 축성기술과 역사적 경험이 반영되어 있다.
향후 남원지역의 정체성을 담고 있는 교룡산성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와 연구를 통해 시기별특징과 성격이 보다 입체적으로 규명되기를 기대한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