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중국 학계의 발해사 연구 동인과 최근 연구 경향 -웨이궈중의 『발해사』를 중심으로 = A driving force of Balhae History Research in Chinese Academics and Recent Trends -Focusing on 『The history of Balhae(渤海史)』 of Wei Guo-Zhong(魏國忠)-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1-155(35쪽)
제공처
The Korea-China history debate, represented by China's "Northeast Project" was sparked by Chinese academia's formalization of discussions to incorporate ancient Korean Northern History into Chinese history, led by Goguryeo history, which was considered a historical "prohibited zone (禁區)". However, the basic description of Balhae Temple in Chinese academia did not change much before and after the 'Northeast Project'. The study of Balhae history in modern China was conducted with the establishment of Northeast History as a means of overcoming the crisis of the frontier in the face of escalating crisis in the Northeast due to the invasion of imperialist powers.
Modern China established Balhae as a "local regime of the Tang established by China's ancient minority, Malgal", and established a unified genealogy theory leading to Sukshin - Eupru - Mulgil - Malgal(Balhae) - Yeojin - Manchu(Cheong). The representative researcher at this time was Jin Yu-Fu(⾦毓黻).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1949, the appearance of claiming Balhae Temple as Chinese history has subsided. However, after the end of the Cultural Revolution, it was known that North Korea's Park Si-Hyung and Joo Young-Heon claimed Balhae as Korean history as representatives and emphasized it as a country that succeeded Goguryeo, stimulating China's research on Balhae history. Accordingly, from the late 1970s to the 1980s, research on the history of Balhae in China mainly dealt with problems such as the ethnicity, origin, subject ethnic group, and historical attribution of Balha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in 1992, research on the history of Balhae in South Korea stimulated China again. Since then, research on Balhae history in China has grown significantly through the 'northeast process'.
For about 40 years since the 1980s, Wei Guo-Zhong(魏國忠) is the one who can represent the study of Balhae history in China. The recent "The history of Balhae(渤海史)" shows not only the perception and issues of Balhae History in Wei Guo-Zhong, but also what the Chinese academic community intends to do through Balhae History research. The conclusion is that it is part of Chinese history that is not related to Korean history, and based on “The unified multi-ethnic Nation theory“, it is not an independent country, but a local government of the party like the "special zone(特區)" today.
In addition, while maintaining the perception of Chinese academia in the past three years, Chinese academic research has been undergoing a new transition in conjunction with China's excellent traditional culture, historical policies, and research support in the second period of Xi Jin-Ping's rule. In particular, the Chinese government's policy considerations and academic support at the central and local levels are feared to deepen the gap in research on Balhae history between China and Korea. In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Balhae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East Asian history beyond ‘a national history’ in order to promote the research on Balhae history in Korea.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epen academic exchanges with North Korea and Russia, wherethe remains of Balhae arelocated, and to establish a stable support system for emerging researchers.
중국의 ‘동북공정’으로 대표되는 한중 역사 논쟁은 중국 학계가 역사적 ‘禁區’로 여겨지던고구려사를 필두로 한국 고대 북방사를 중국사로 편입하려는 논의를 공식화하면서 촉발되었다. 그러나 발해사에 대한 중국 학계의 기본 서술은 ‘동북공정’을 전후로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근대 중국의 발해사 연구는 제국주의 열강의 침략으로 동북 변경 지역의 위기가 고조되는상황에서 변강의 위기를 극복하는 수단으로 동북사를 정립해 가는 가운데 진행되었다. 근대중국은 발해를 ‘중국의 고대 소수민족인 靺鞨이 주체가 되어 세운 唐의 지방 정권’이며, 숙신읍루-물길-말갈(발해)-여진-만주(청)으로 이어지는 일원적 계통론을 정립했다. 이시기 대표적인 연구자는 ⾦毓黻이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된 이후에는 유물사관과 북한과의 관계로 발해사를 중국사로 주장하는 모습은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그런데 문화대혁명이 종결된 이후 북한의 박시형과 주영헌을 대표로 발해를 한국사로, 고구려를 계승한 국가로 강조한 것이 알려지며, 중국의발해사 연구를 자극하였다. 그 결과 1970년대 말부터 1980년대까지 중국의 발해사 연구는발해의 족속, 내원, 주체민족 및 역사귀속 문제 등을 주요하게 다루었다. 그리고 1992년 한중수교 이후에는 남한의 발해사 연구가 또 중국을 자극하였다. 이후 ‘동북공정’을 거치며 중국의발해사 연구는 크게 성장하였다.
1980년대 이후 약 40년 동안 중국의 발해사 연구를 대표할 수 있는 사람은 魏國忠이다. 최근 나온 『渤海史』는 웨이궈중의 발해사 인식과 쟁점뿐 아니라 중국 학계가 발해사 연구를 통해무엇을 의도하고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결론은 한국사와 관련이 없는 중국사의 일부이며, ‘통일적다민족국가론’에 입각하여 독립국이 아닌 오늘날 ‘特區’와 같은 당의 지방정권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최근 3년간 중국 학계의 발해사 연구는 기존 중국 학계의 인식을 견지하면서도, 시진핑 집권 제2기를 맞아 중국의 우수전통문화와 역사 정책 및 연구지원과 맞물려 새로운전환을 겪고 있다. 특히 중국 정부의 정책적 고려와 중앙과 지방 차원의 학술적 지원은 중국과한국의 발해사 연구 격차를 심화시킬 것으로 우려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발해사 연구를진작시키기 위해서는 일국사를 넘어 동아시아사 시각에서 발해사를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발해 유적이 있는 북한‧러시아와의 학술교류 심화, 신진연구자 육성을 위한 안정적인 지원시스템 등을 갖출 필요가 있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