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박물관 전시공간 분석 = An Analysis of Museum Exhibition Space using Space Syntax Theor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the Spatial Desig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81-90(10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연구배경 및 목적) 문화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며 전시공간이 늘어나는 요즘, 전시공간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박물관 전시공간의 정량적 분석에 있으며, 나아가 직관적인 학예사의 전시계획과 공간이 갖는 정량적인 수치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전시계획에서의 기준점이나 참고사항을 제시하는 데에 궁극적인 목표가 있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는 한슨과 힐리어의 공간구문론을 이용하여 전시공간의 공간구조를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공간구문론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값으로는 연결도, 통합도, 명료도 등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서사적 전개가 필요한 국내 전시공간인 <국립민속박물관>과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을 대상으로 공간구문론 분석을 시도한다. 전시공간의 기본적인 평면분석과 함께 공간구문론을 적용한 정량적인 공간 분석을 한 후 실제 전시공간과 비교하여 전시 내러티브의 흐름과 공간구조가 일치하는지, 전시 콘텐츠의 배치가 적절한지에 대해 평가하고 문제점을 파악한다. 이를 통해 전시공간에 대한 제안점을 도출하려 시도한다. (결과) 국립민속박물관을 공간구문론 분석한 바에 따르면, 세 개의 전시실 모두 전시 후반부의 한 단위공간에서 연결도가 가장 높고 전시 중반부의 통합도가 가장 높은 공통점이 있었다. 각 전시실 현황과 비교분석하였을 때 1전시실은 배치의 변화가 필요한 부분이 있었으며, 2전시실은 동선의 유도가 필요한 구역이 있었다. 3전시실은 전시물의 배치와 동선이 적절하여 관람에 어려움이 없었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을 분석한 바에 따르면, 시대의 흐름에 따른 전시계획으로 인해 전시공간 전반적으로 연결도가 낮았으며, 국립민속박물관과 마찬가지로 전시 중반부의 통합도가 높게 나타났다. 전시실 현황과 비교분석을 한 결과 1,2,3전시실의 경우 전시실의 주제와 통합도가 높은 공간이 일치하여 관람객 입장에서 정보를 효과적으로 받아들이기 수월하였다. 반면 4전시실의 경우 다른 전시실보다 규모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통합도가 높은 공간에서 5개 이상의 산만한 콘텐츠가 배치되어 시정이 필요해 보였다. (결론) 이 연구에서는 공간구문론 분석 결과로 나타나는 정량적 계수를 참고하여 박물관 전시공간의 현황과 비교분석해 봄으로써 정량적이고 정성적인 분석 관점을 모두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관람자가 혼란스럽지 않게 정보를 받아들이기 위해 전시구조와 전시내용의 짜임에 연결성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전시공간은 초기의 계획과 설치도 중요하지만, 사후검증이 더해져서 연구자들의 제안점을 부분수정으로라도 개선해 나갈 수 있다면 상설전시가 일반적인 박물관의 전시능력을 높여 더욱 더 향상된 전시를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더보기(Background and Purpose) In light of increased demand for culture and the bourgeoning number of exhibition spa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analyze museum' exhibition spaces. More specifically, it attempts to analyze the space syntax of the Folk Museum of Korea and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Further, its ultimate goal is to present evaluation or reference points for future exhibition plans by comparing curators’ intuitive exhibition plans with quantitative measures of space. (Method) As a research method,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exhibition spaces at the Folk Museum of Korea and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using Hanson and Hillier’s space syntax theory. Some of the values that can be obtained using space syntax theory are connectivity, integration, and intelligibility. (Results)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spatial syntax of the National Folk Museum, all three exhibition rooms had the highest connection and the highest degree of integration in the middle of the exhibition. This was also true of one unit space at the end of the exhibition. When compared with the original state of each exhibition room, the first exhibition room needed to change its layout, and the second exhibition room had areas requiring circulation guidance. The third exhibition room had no issues, because the arrangement of the exhibits and the exhibition space’s circulation were correct.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the exhibition space’s overall level of connection was low. This is due to the exhibition’s planning, along with contemporary trends at the time of completion. The integration value of the exhibition’s middle section was high, just like the National Folk Museum. According to a comparative analysis of exhibition room statuses, the first, second, and third exhibition spaces complemented the exhibition room, and had a high degree of integration. This made it easier for visitors to receive information effectively. On the other hand, in the fourth exhibition room, over five contents were scattered in an otherwise highly integrated space. This was true even though it was smaller than other exhibition rooms, a fact which seemed to require correction. (Conclusions) In this study, I attempted to apply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tical perspectiv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resent situation of exhibition space in museums. I accomplished this by referring to quantitative coefficients resulting from an analysis of space syntax. While early planning and installation of exhibition space is important, I think long-term exhibitions can provide even better displays by enhancing the capacity of a typical historical museum. This is especially true if post-verification is added, and partial modifications can be improved.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6-0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Intitute of the spatial design -> Journal of Korea Intitute of Spatial Design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7 | 0.47 | 0.5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1 | 0.52 | 0.692 | 0.2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