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기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 활성화 방안 연구Ⅰ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34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313(313쪽)
제공처
이 연구는 ‘청소년의 기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활성화 방안 연구’로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개년 연속 사업으로 추진된다. 2014년 1차 년도에는 창조경제시대에 요구되는 청소년의 기업가정신과 창업에 관한 기초적인 논의, 국내외 사례조사, 그리고 초·중·고 청소년들 대상으로 인식조사 등을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기업가정신 함양과 청소년 창업지원을 시사점 도출 및 정책적 추진방안과 전략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2차 년도에는 연구결과의 정책 활용가능성과 정책방안 추진 절차의 실현 가능성에 초점을 두고 국내외 제도와 관련법에 대한 분석 등을 통해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하고자 한다. 3차 년도에는 창조산업분야별 인재육성방안 개발을 위한 신성장동력, 사회이슈해결, 실용기술활용 등을 주제로 구체적인 교육모형과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시스템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014년도 연구를 통해 도출된 청소년의 기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활성화를 위한 추진방향과 영역별 추진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추진방향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창조경제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청소년들에게 도전정신과 창의적 아이디어 산출 등과 같은 기업가정신을 함양시켜야 한다. 둘째, 청소년을 국가경제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활용하려는 사회적인 전반적인 인식 전환 노력이 전제되어야 한다. 셋째, 핵심적인 추진전략으로 생애전주기적 기업가정신 학습체계를 구축하여 초중고에서 대학생에 이르기까지 단계별 성과목표 및 학습내용을 체계화시킨 기업가정신 학습모형을 마련한다. 넷째, 이 과정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먼저 학생, 학부모, 교사, 관련 교육기관 및 관계 부처들 간의 합의와 협조체제가 우선되어야 한다. 동시에 지역 단위 다양한 기업들과 학교 간의 전문 인력과 실습장소등을 긴밀하게 연계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한편, 학교 교육과 훈련만으로는 실천적인 기업가정신과 창업역량 함양에 한계가 있을 것이므로 학교 밖의 청소년활동 기관들이 지역사회 자원과 연계하여 기업가정신 함양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이러한 전 과정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총괄적인 관리를 담당하는 중앙과 지역 단위 컨트롤타워를 설치하여 운영할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measures to nurture young entrepreneurs and promote business startups, and a three-year project spanning from 2014 to 2016. In its first year, the project included discussions on youth entrepreneurship and business startups in connection with the creative economy, case studies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practices, and perception studies among elementary,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findings served as the basis for the presentation on the implications, directions and strategies for domestic policy to promote youth entrepreneurship and encourage business startups. In the second year, a concrete roadmap will be created through the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stitutions and relevant legislation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applicability of policy proposals and the practicality of the procedures to implement policy measures. The final year will see the development of specific education models and programs and the presentation of measures to build support systems on such topics as talent nurturing, new growth engines, social issues, and utilization of practical technology in each sector of the creative economy.
The study presented the following policy directions and sectorial strategies for the promotion of entrepreneurship and business startups among the youth. First, as for the policy directions, the youth should be provided with opportunities to nurture a can-do attitude and an entrepreneurial mindset as part of the efforts to support the creative economy at the national level. To this end, efforts need to be made to change the overall perception of society in order for young entrepreneurs to be sought after as a key growth engine driving the national economy. A main strategic point is to establish a lifecycle entrepreneurship education system and develop education models reflecting objectives and education content corresponding to each stage of development starting from elementary schools all the way to universities.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he process requires consensus and cooperation among students, parents, teacher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related government ministries and agencies. At the same time, companie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need to work closely at the local level, especially with regard to training professionals and places for apprenticeship.
Meanwhile, there is limit to what education and training can do to promote entrepreneurial spirit and capacity. Legislative and institutional devices need to be introduced to assist community youth organizations to mobilize local resources and contribute to the process of promoting youth entrepreneurship. Central and local control towers need to be established and operated for the overall management of the entire process in order to facilitate efficient implementatio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