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일본의 이민법제와 외국인정책의 동향 = The Immigration Legal System and the Trend of Policies for Foreigners in Japa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주제어
KDC
300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1-56(26쪽)
KCI 피인용횟수
3
DOI식별코드
제공처
각 국가는 그 나라가 처한 국내외 환경에 따라 다양한 이민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해외 우수인재의 적극 유치, 경제적 목적의 불법이주 차단, 사회통합정책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공통된 패턴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일본은 국가차원의 통합법제가 없고 지방정부에 의해 다문화공생이라는 정책이 추진되며, 조례가 제정된 지자체도 등장하고 있다 이는 일본의 이민환경의 특수성에 기인한다. 오늘날의 국제정세나 이민의 보편화 현상 등 일본사회 내에서도 이민관련 기본법제정이나 다문화 공생기본법 제정에 대한 요구의 목소리가 있지만, 개정 출입국관리법에서는 오히려 불법이주의 차단을 강화하고 체류외국인의 관리가 강화되었다.
일본의 외국인 정책은 과거 제국주의 시절 식민지로부터 유입된 올드커머의 체류관리, 부족한 노동력 해소책으로 유입된 남미출신 일본인 교포 등 뉴커머에 대한 입국관리, 그들에 대한 사후관리로서 뉴커머의 체류관리로 정책중심이 바뀌었다. 일본정부는 일관되게 "미숙련외국인 근로자의 입국ㆍ취업 불허"원칙을 고수하였으나, 89년 법률의 개정으로 일본 노동시장이 부분적으로 개방되었고 이는 혈연이라는 근거와 연수를 통한 국제공헌이라는 명분에 기초한 것이었다. 뉴커머의 유입에 따른 외국인의 구성변화로 좀 더 체계적인 체류관리가 필요하게 되어 2009년 출입국 관리법을 대폭 개정하였다 개정법은 체류카드의 교부, 체류기간의 연장, 재입국허가 간주제도의 도입, 외국인등록제도 폐지를 골자로 하고 있다 또한 포인트 제도에 의한 고도인재의 유치 등 수용대상이나 규모가 매우 한정적이지만 일본에 외국인의 정착이 예정된 시도를 하고 있다. 1989년 출입국관리법에서 신설된 정주자와는 달리 가족이나 혈통을 근거로 하지 않고 정주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획기적이라고 할 수 있다.
While each country adopts a variety of immigration policies under its domestic and overseas circumstances, it shows a common pattern to actively attract global talents, block illegal immigration for economic reasons, and reinforce social integration policy. However, Japan doesn't have a unified legal system at a national level and local governments, some of which enact an ordinance, carπ out multi-cultural coexistence policy, resulting from specific immigration environments in Japan.
Although the need for the legislation of basic laws on immigration or multi-cultural coexistence is recognized, a revised immigration control law has tightened controls on illegal immigration and foreigners staying in Japan. Policies for foreigners are focused on residency management system of old comers from colonies during the Imperial past and that of new comers from South America brought into Japan as a solution to labor shortages. Despite the Japanese government's consistent disapproval of unskilled workers' entry and employment, a law revision in 1989, on the justification of contributions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rough training and blood relationship, made Japanese labor market open. More organized residency management system was needed because the influx of new comers led to a change in the demographics of foreigners. An immigration control law was revised in 2009 and has been enforced since July in 2012. The gist of the revised law is an issue of a residency card, an extension of stay, an introduction of reentry permit system, and the abolition of foreigner registration system. The government is trying to help foreigners settle in Japan, albeit very limited in terms of acceptable targets and size. It is innovative in that foreigners can stay not based on family or blood ties unlike previous settlers since 1989.
Under current international, economic situations, a wide range of foreigners settle down in Japan. They are entitled to stay in Japanese soil by the legal system of the country on nationality, family register, or immigration control. Social integration for the peaceful coexistence with foreigners is possible when the legal system and state-run immigration policies efficiently work.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3-2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KCI등재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9-3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9 | 0.29 | 0.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3 | 0.41 | 0.555 | 0.1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