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 고액진료비의 현황 및 영향요인에 관한체계적 문헌고찰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the Current State and Influencing Factors of High Medical Expenditure in Kore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71-101(31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연간 300-500만 원 이상을 진료비로 사용하는 상위 5%의 고액진료비 지출 환자들이 사용하는 진료비는 45.6%로 나타났다. 이는 소득이 낮은 국민들에겐 가계재정 부담이 되고, 국가 의료보장 재정 부담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고액진료비의 규모와 차지 비율은 고령화 등의 사회적 여건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여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기존 고액진료비에 관한 선행연구는 주로 현황 및 추이, 고액진료비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파악에 관한 연구 등이 있었으나, 고액진료비에 대한 기준 및 발생 요인, 정책적 제안 관련 연구들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연구는 부족하였다.
이 연구는 고액진료비 연구가 최초로 확인된 1989년부터 2022년 사이 이루어진 우리나라 고액진료비 관련 국내・외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고액진료비 발생 관련 영향요인과 연구자들이 제안한 고액진료비의 기준, 정책 과제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고액진료비 관련 연구 방향 제시 및 고액진료비 절감을 위한 보건정책 수립 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결과에 따르면 고액진료비의 규모와 비율의 양상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액진료비를 야기하는 주요요인 중 대상자의 연령(5건, 41.7%), 경제적 부담(4건, 33.3%), 만성질환 및 장애 유무(3건, 25.0%), 의료기관 종별, 입원 및 수술 여부(각 2건, 16.7%)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구주의 연령이 높고,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만성질환을 많이 보유하면서 장애가 있고, 입원 및 수술 할 경우 고액진료비 지출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액진료비 감소 및 예방과 관련한 정책 또는 제도는 비급여 진료 항목에 대한 보장성 강화 방안(3건, 25.0%), 소득수준을 반영하여 본인부담상한선 기준을 낮추는 방안, 치료방법에 대한 효과성을 평가하는 방안, 장기 입원 재입원 환자에 대한 의료 적절성 평가 방안, 전문화된 노인의료서비스 제공 및 인력 양성화 같은 방안(각 2건, 16.7%)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분석결과는 향후 고액진료비에 대한 효과적인 연구와 정책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nnual medical expenses used by the top 5% of high-cost medical expenditure patients who spend more than 3-5 million won per year on medical care accounted for 45.6%. This places a burden on low-income citizens and constitutes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national healthcare budget. Moreover, the scale and proportion of high medical expenses are expected to continue increasing due to societal changes such as an aging population, increasing their importance.
Previous research on high medical expenses primarily focused on the current situation, trends, and factors affecting their occurrence. However, there was a lack of systematic analysis in previous research regarding the criteria and factors contributing to high medical expenses, as well as studies related to policy recommendations.
This study systematically collects and analyzes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related to high medical expenses in South Korea conducted between 1989 and 2022. The goal i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healthcare policy development aimed at reducing high medical expenses.
Previous research results indicate an increasing trend in the scale and proportion of high medical expenses. The primary factors contributing to high medical expenses were the age of the beneficiaries (5 cases, 41.7%), economic burden (4 cases, 33.3%), the presence of chronic illnesses and disabilities (3 cases, 25.0%), the type of healthcare institution, and the need for hospitalization and surgery (2 cases each, 16.7%). It was found that individuals with older household heads, lower household income, a higher prevalence of chronic illnesses, disabilities, and those requiring hospitalization and surgery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high medical expenses.
Policies and systems related to reducing and preventing high medical expenses include strengthening the coverage of non-reimbursable medical services (3 cases, 25.0%), lowering cost-sharing limits based on income levels,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methods, assessing the medical appropriateness of long-term hospitalization and readmission for patients, and providing specialized elderly healthcare services and workforce development (2 cases each, 16.7%). These findings can be valuable for future research and policy development related to high medical expense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