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EU국가들의 가족정책의 한국 가족정책에 대한 EU국가들의 가족정책의 한국 가족정책에 대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독사회과학논총(Zeitschrift der Koreanisch-Deutschen Gesellschaft fur Sozialwissenschafte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01-130(30쪽)
제공처
오늘날 가족은 산업화과정 속에서 다면적인 사회변동을 경험하면서 형태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에서 다양화와 탈제도화 그리고 개인화의 경향이 강해지는 변화를 보이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과정에서 가족은 역할분담을 둘러싼 갈등, 빈곤과 실업, 폭력과 방임 등 다양한 문제와 직접적으로 당면하게 되었다. 이제 우리나라에서는 새로운 가족정 책에 대한 사회적 욕구가 증대되고 있다. 현재 가장 시급한 우리의 과제는 기존의 가족 정책의 이념 또는 방향성과 틀을 분석․검토해 보고, 이를 통해 위기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전략으로서의 새로운 가족정책의 방향과 정책의 내용을 모색해보는 일일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나타난 EU국가들에서의 가족변화 경향을 진단하고, 가족정책을 분석함으로써 우리에게 요구되는 새로운 가족정책을 탐색해 보았다.
연구결과, 앞으로 우리나라 가족정책의 방향은 가족의 전체성과 가족구성원의 개별 성의 조화를 요구하며, 정책내용은 대상의 보편성, 분야의 포괄성, 수준의 적절성을 지향하도록 개선됨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modernization process has changed the structure of western europe far-reachingly. This process of change has accelerated always more strongly since the 2nd half of the 1960s through economic stability and cultural liberalization, particularly in the area of family life. Under the expression of the postmodern family is frequently described the pluralization of family life-forms. In this context, the family policy in Europe has been changed from a wholistic paradigm to a paradigm of pluralization. The pattern of family change in Korea is very similar with the trends that began more than a century ago in western Europe. Korea have experienced a decline in
fertility rates and marriage rates, while its divorce rates and cohabitation rates have increased constantly and rapidly since 1980s. Today Families appear unable to maintain their traditional functions of caring for their members. This phenomenon reflects the crisis of the family as a institution and therefore the political interventions of state and society in family life are needed more and more.
This paper analyzes the paradigm of european family policy. Through this analysis, it attempts to find implications of european political paradigm for korean family welfare polic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