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宗家建築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ong-ga in Korea
저자
조중근 (영동공과대학교 건설공학부 건축공학)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6
작성언어
Korean
KDC
040.000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49-272(24쪽)
제공처
소장기관
조선시대 축조된 37개 종가를 대상으로 건축조영에 내재된 배경, 특성 그리고 사고체계를 지배한 사당의 건축적 표출을 찾고자 하였다 종가의 공간구성은 시각적, 공간적 연결성을 부여했으며, 풍수의 원리와 지형의 조건에 따라 적절한 조화를 시켰다. 그리고 이중적(삶과 죽음) 공간구조, 구획된 原空間을 담장으로 연결하여 극적공간 변화와 자연과의 상호관입을 통한 인간과 자연의 합일사상을 반영하였다. 평면은 營造者의 恩想, 意志, 學統이 표현된 상층문화와 사회규범의 영향과 함께 입면구성에서는 天,地,人을 象으로한 形이 ○, □, △으로 건축의 형태의 기본이 되어 왔다. 사당은 天계와 地계를 이어주는 중심성과 이중적 구조로서 상징공간으로 깊은 장소, 높은 위치, 좌향은 음과 양이 만나는 동북쪽에 위치시켜 정신적 에너지의 정점으로서 위계성과 상위공간으로 영역성을 확보 하였다. 종가는 고유의 사상을 심오하게 妙合한 심리학적 통찰력을 갖춘 고도로 정교화된 건축으로서 민족성의 중심사상인 삶과 죽음 즉 生과 死가 있음으로서 정서에 적합하고 한국 특유의 건축적 본질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clear the background of the architectural construction, the character and the architectural expression of the Sa-dang, by hermeneutics. and to recognize the elements of order and object through the space experience focusing on the Chong-ga. That is spatial stay for the worship of forefathers and it is an existing place of living space for the ancestors. The space expression is an organically harmonized condition of topography according to Phyung-sui and natural law. The architect's thought and academic background, expressed by the higher culture and social rule, has an effect on it. The Sa-dang of Chong-ga exists as space connecting ancestor space. It is symbolic space as psychological meaning. and connects the heaven and earth. The Sa-dang places emphasis on hierachy by a deep place, high location, and direction. It permanently symbolizes residential space for life and death. The spatial composition is in accordance with the law of form organization. That is the principal of a common fate and a harmonious environment. The symbolic architecture of Chong-ga is hierachy and order, that is act on to stand, to separate symbol from chaos as the principal of total anens. That symbol is the core principal in form.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