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고전문학: <소유정가(小有亭歌)>의 장소재현과 장소성 -화자의 주체성 문제를 바탕으로- = Reproduction of Place in <Soyujeongga> and Placeness -Based on the argument of the teller`s subjectivit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주제어
KDC
8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63-189(27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Soyujeongga is a gasa work of Park, In-Ro in which the Soyujeong on the bank of Geumhogang in Daegu city is reproduced. Since Soyujeong is a real pavilion that existed in the area of Daegu city, surrounded by Geumhogang, Biseulsan, and Palgongsan, it is significant that Soyujeongga is a work that reproduces a place named ``Soyujeong`` as literature. In this paper, the way how the place is reproduced in Soyujeongga and the placeness projected to the way is considered as a methodology to investigate the author`s consciousness. The reproduction of a place that exposes placeness is indivisible relation with sovereignty. By concentrating on the lyrics of the work and investigating the relation between the teller and sovereign entity in the work, it is found that the teller in Soyujeongga, ``I`` is the projection of the author Park, In-Ro himself. On the basis of the above mentioned fact, it is examined that how the placeness of the teller (the author) is reproduced in the work. Firstly, Soyujeong has the most significant value in Soyujeongga. By contrasting Soyujeong that is in the middle of extraordinary scenary with outstanding architectures in historical stories, the author shows that the pavilion is the most significant to him, along with its symbolic meaning. Secondly, the author expands the place existentially by reproducing deep lyricism and his experiences of visiting nature surrounding Soyujeong. In addition to this, the author expands Soyujeong ideologically by reproducing the place as a place of revealing Ganghogado and loyalty. In Soyujeongga, the placeness of Park, In-Ro based on his experience of place and his identity as a noble man latent in his consciousness are mixed and reproduced. While describing the actual form of the place he has seen and experienced with deep lyricism, his self-consciousness which can not be free from the social and cultural criticism of the community at that time affects the way how to reproduce the place Soyujeong in Soyujeongga.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