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17·18세기 서울에서의 공노비 고립과 운영: 왕실·각사노비를 중심으로 = The Employment and Operation of Gongnobi(公奴婢) in 17·18th Century Seoul: Focusing on the Royal Family and Central Government’s Nobi
저자
도주경 (충남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53-193(41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서울에 소재한 왕실·각사는 각사노비의 입역과 선상을 통해 노동력을 확보하였으나, 17세기 이후 점차 경인(京人)을 고립하기에 이르렀다. 노비의 고립은 크게 중앙각사의 원역 고립, 공물주인의 역인 책립 등 두 가지 계통으로 이루어졌다. 호조·병조가 중앙재정을 통해 고립한 각사 원역은 주로 궐내나 상사의 평소 사환에 제한되었으며, 나머지 노동력은 그대로 각사에 남아있었다. 이에 대해 중앙각사는 자체 경비를 동원해 고립하거나, 공물주인이 진배해야 하는 역으로 규정함으로써 대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호조 및 중앙각사의 고립 내역, 공물주인이 수행하는 관역(官役)의 내역을 검토함으로써 조선후기 왕실과 중앙각사의 노동력 동원 양상을 전체적으로 복원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각사노비의 고립은 역이 노동력 고용과 부세 수취라는 이원적 구조로 재편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변화로, 노비역의 노동력 의미는 점차 퇴색하고 신공이 중심으로 떠올랐음을 살펴보았다.
더보기From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the labor needed for the royal family and central government offices in Seoul was provided through the forced labor of gaksanobi(各司奴婢). However, the way this system operated changed significantly after the 17th century. Labor was hired directly from Seoul, and the cost of hiring labor was collected from the provinces as a tax. This was due to a variety of socio-economic structural changes, including improvements in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population growth, the concentration of social labor in agriculture, increased taxation of land, and the expansion of money and logistics distribution.
The Daedongbeop(大同法), which required that the necessary in-kind goods be purchased in the Seoul market, and the cost of goods be assessed on local land, was an important step in institutionalizing the employment of nobi. Nobi employment can be broadly categorized into two ways depending on the subject of employment. One is the direct hiring of a nobi by a government office that handles central finances such as the Hojo(戶曹), and the other is the hiring of a nobi by a tribute merchants(貢物主人) who separates the tribute price(貢物價) and the service price(役價) he receives. From this point of view, it can be said that employment was not simply a phenomenon of buying and selling labor, but a policy of how to organize the country's labor.
On the other hand, the employment of the nobi resulted in the unification of the national service from providing labor to paying taxes for those who lived in provinces. This suggests that the state will emphasize the financial aspect, called singong(身貢), instead of labor in the future to operate the nobi’s national service and the nobi system.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