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아동 부모의 통합교육에 관한 인식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Parents Having Handicapped Children Enrolled in Special Schools on Inclusive Educa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3-53(31쪽)
KCI 피인용횟수
8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viewpoints on inclusive education for parents of the disabled children who attend special schools. The research method used was private interviews. The target for the research were total of eight parents, including four parents of schools for physically disabled children and four parents for schools for mentally disabled children. The research issues of the interview were target interviewee when enrolling in special school and determining factor, pros and cons for special school and class, and the views on the inclusive education.
Let's look at some of the important research results, first, the parents who enroll their children with disability usually discuss the issue with parents of normal school and parents with disabled children. The emotional outcomes are confusion and the minds of giving up. The determining factor choosing special schools are stress, emotional damage and the degrees of disability and the notion that disabled children should attend special schools.
Second, it shows the contradictory though including negative perspective on pros and cons for special class and special schools. First, the parents stated that the advantages of special school are improving socia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disadvantages as negative attitude and target for discrimination as the children go up grades. Then the advantages of special school are mental stability and professionalism and disadvantage as lack of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lack of education based on degrees of disability and lack of possible models.
Finally, parent's general views on inclusive education are ambivalence coming from hardship in changing perspective and living harmonious with others. Along with understanding the benefits of inclusive education, they sometimes portrayed negative and criticized the concept of inclusive education. For perspective of disabled children, studying while mimicking and sharing contemporary culture were advantages in inclusive education and ethical education was viewed as merit for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Furthermore, most parents pointed out that the major problems with inclusive education and possible methods for improvement are similar concepts. They stated their negative view and how inappropriate educational environment is the problem in inclusive education and emphasized that improvement in societal perspective and educational environment are methods for improving inclusive education.
본 연구는 현재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아 부모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 방법으로는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부산지역의 지체장애아학교 및 정신지체아 학교의 학부모 각각 4명으로 총 8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문제로는 특수학교 취학 당시 상담대상 및 결정요인, 특수학급 및 특수학교의 장단점,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등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중요한 몇 가지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장애아부모들은 자녀를 특수학교에 취학시킬 때에는 일반초등학교, 장애아부모 당사자, 다른 장애아부모들이 주요 의논대상이지만 혼란과 포기의 마음을 읽을 수 있다. 특수학교를 선택하게 된 결정요인은 스트레스 및 상처, 장애정도 등 아픔과 당연함의 견해가 나타났다. 둘째, 특수학급 및 특수학교의 장단점과 관련하여 부정적인 면과 아울러 부정적인 면 등 이중적인 생각이 동시에 나타난다. 우선 특수학급에서 장애아부모들은 사회성함양 및 학업적 효과를 장점으로 들었으며 단점에는 고학년일수록 부정적 태도, 차별의 대상 등을 언급하였다. 이어서 특수학교의 장점으로는 심신의 안정, 전문성을 지적하고, 단점으로는 교사-학부모의 협력결여, 장애수준별 교육의 부재 및 모방모델의 부재를 꼽고 있다. 끝으로 장애아부모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으로는 우선 통합교육의 개념을 서로 어울림이나 사고방식의 전환 등 매우 애매하게 이해하고 있었으며, 통합교육의 효과도 마찬가지로 긍정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때로는 매우 비판적이고 비관적인 견해도 동시에 보인다. 장애아의 입장에서는 모방 학습과 또래문화 공유, 비장애아의 입장에서는 인성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어서 통합교육의 주요 문제점과 개선 방안은 동일한 개념을 중심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문제점으로 부정적인 인식 및 부적절한 교육환경을 들고 있으며, 통합교육의 개선방안으로는 사회적 인식의 개선과 통합교육의 질적 환경의 개선을 주로 강조하였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7-07-0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 With Special Need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6-14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특수아동교육연구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2 | 1.22 | 1.1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1 | 1.15 | 1.374 | 0.3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