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AI 리터러시’의 재구성: 인프라미디어로서의 AI와 관계적 역량으로서의 AI 리터러시 = Reframing ‘AI Literacy’ :Conceptualizing AI as inframedia and literacy as relational competency
저자
이정현 (계명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49(45쪽)
제공처
이 연구는 인공지능(AI)을 단순한 기술 도구가 아닌 인간의 인식, 감각, 판단, 행위를 구성하는 ‘인프라미디어’로 개념화하고, 이에 기반하여 기존의 AI 리터러시담론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하고자 한다. 기존의 리터러시 논의는 새로운 기술을익히는 역량으로서 리터러시를 정의하면서 정보 접근성, 활용 능력, 비판적 사고, 윤리적 태도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지만 실제 리터러시 논의는 정보 접근성과 활용 능력에 대해서만 양적으로 비대해지는 양상을 띠었으며, 비판적 사고 함양에 있어서도 AI가 만들어 내는 생태적 조건이나 사회적 내재성을 충분히고찰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이 논문은 미디어 생태학과 인프라연구의 이론적틀을 활용하여 AI를 독립적인 기술이 아니라 환경이자 인프라로서 이해하고, 리터러시를 인간ᐨ기술ᐨ환경의 관계적 구성으로 이해할 것을 제안한다. 현재의 AI 리터러시가 도구 활용 중심에 머물러 있음에 문제의식을 갖고 이 연구는 AI 리터러시를 관계적 역량으로 이해하여 감각, 판단, 실천의 조건을 구성하는 인프라로서 AI를 인지하고 비판적 실천 역량을 기르는 방향으로 확장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이러한 접근은 AI 시대에 매우 협소하고 정치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는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을 재정립하는 데 이론적·정책적·실천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This study reconceptualizes artificial intelligence (AI) not as a mere technological tool but as inframedia - a foundational medium that shapes human perception, sensation, judgment, and action. Building upon this perspective, the paper critically reconstructs prevailing discourses on AI literacy. While current definitions of literacy often emphasize the ability to acquire and apply new technologies - focusing on information access, functional use, critical thinking, and ethical attitudes - these discussions have become disproportionately centered on quantitative measures of accessibility and using ability. Moreover, they tend to overlook the ecological conditions and sociotechnical embeddedness that AI systems engender, thus limiting the development of truly critical perspectives. Through the theoretical lenses of media ecology and infrastructure studies, this paper proposes an understanding of AI as an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rather than an autonomous tool. In doing so, it calls for a redefinition of literacy as a relational configuration involving humans, technologies, and environments. Challenging the tool-oriented approach that dominates current AI literacy education, the study argues for a shift toward relational competencies - capacities grounded in recognizing AI as an infrastructural force that conditions human sensation, judgment, and action. This relational approach offers theoretical, policy, and pedagogical contributions toward reorienting the narrow direction of literacy education in the age of AI.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