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논어(論語)』에 나타난 정치 관념 = Confucius` Concept of Politics: Focusing on Analect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9-42(34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공자(孔子)가 도덕을 중시하였다는 이유로 그가 정치보다는 도덕을 중시하였다는 식의 오해가 불식되지 않는 편견 중의 하나로 여전히 남아있다. 여기에는 정명론(正名論)에 대한 오해도 한 몫 한다. 하지만 공자의 정명론은 정당성을 확보한 정치성의 회복을 말한 것이고, 또 이를 위해서는 도덕성 회복도 필수적이라는 것이지 정치보다 도덕을 우위에 놓거나 정치가 곧 도덕이라는 주장은 아니었다. 이 논문은 일각의 오해를 극복하려는 시도로 『논어』에 나타난 공자의 정치사상을 재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공자는 당대 지식인 누구보다 정치를 중시하였고, 스스로 자임의식도 강력했음을 검토하였다. 아울러 정치의 개념과 함께 공자의 정치적 이상을 살펴보았는데, 그것은 법적 분쟁이 없는 사회, 이를 위해 덕치(德治)/예치(禮治)가 우선되고 법치(法治)/형치(刑治)는 보조수단인 사회였음을 주장하였다. 또 이를 위한 정치목표는 정명(正名)과 인서(仁恕)가 구현되는 사회이고, 이때 군주의 정명과 인서의 구체적인 실천대상이 바로 혁명적인 민(民) 관념에 기초하는 것이며, 그래서 구체적인 실천내용도 부민(富民), 교민(敎民), 균민(均民)으로 집약될 수 있었다는 사실을 살펴보았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공자의 이상 및 실천과는 달리 삼가(三家)는 정명을 어긴 채 부민, 교민, 성균의 정치적 실천과는 거리가 먼 자신의 사적이익을 앞세우는 현실과 이에 대한 끊임없는 공자의 비판과 저항을 논하였다. 결국 『논어』에 나타난 공자의 정명론과 인서론은 정치에서 도덕으로의 경도가 아니라 정치의 정당성 회복을 주장한 것으로, 그것은 곧 위민, 민본의 정치를 주장한 것이었다.
더보기One of the prejudices that have yet to be dispelled is that Confucius put more emphasis on morals than politics just because he thought highly of the former. The basis of this argument is his emphasis on the rectification of names. Confucius` rectification of names, however, underlines the restored legitimacy of politics, rather than politics outweighed by ethics. In an attempt to overcome this prejudice, this study reviews Confucius` theory of politics as presented in The Analects, mainly based on the concept of the rectification of names. As a result, it is observed that Confucius emphasized politics more than any other scholars at the time and was highly aware of it himself. Ideally, he argued for a society, in which legal disputes were not necessary: in reality, he prioritized the rule of virtue and decorum governed by voluntary motives; here, the rule of law and justice forcefully implemented was supplementary. As a principle to realize it, he maintained the concept of magnanimity. His practical goals of politics, the study continues to argue, were to enrich the people, educate the people, and achieve harmony(balancing people). As a means to accomplish them, the rectification of names was presented: in particular, Confucius` view on the people was also examined by observing the essence of a ruler, namely an ideal ruler. In conclusion, Confucius` rectification of names was aimed at restoring the legitimacy of politics, not disregarding politics in favor of moral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