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전쟁에 관한 교육 연구: 화해교육과 평화교육 접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ducational Approaches to the Korean War: Focusing on Reconciliation Education and Peace Education Approach
저자
김병연 (양재고등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27-262(36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This article examines the approaches to Reconciliation Education and Peace Education, analyzes textbooks and education materials related to the Korean War, and suggests directions for improv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Reconciliation Education and Peace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s emphasized in dealing with war issues in Reconciliation Education and Peace Education. Then, the current situation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curriculum and government educational materials, an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were presented, and then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was presented.
The reason war is treated as a subject of class in schools is to contribute to creating a more peaceful society by not only understanding war itself as a historical fact, but also understanding how war can destroy human life. The improvement directions suggested as a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ar should be a process of learning lessons from various life contexts. Second, it is necessary to fundamentally reflect on why the Korean War is dealt with in the curriculum, and present an educational goal that reinforces a peaceful approach. Third, in order to form a peaceful relationship between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the memory of war must be converted into a communal memory. Fourth, the curriculum should be organically reorganized with goals and contents that match the nature of the subject in various subjects. Fifth, the curriculum, textbooks, and other educational materials should be structured in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al level of students by school leve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mprehensively reviewed the education on the Korean War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improvement. If new curriculum, textbooks, and instrumental education materials are developed and applied in the future, applying the approaches of Reconciliation Education and Peace Education, it will be possible to transform the deeply engraved hostility after the Korean War into reconciliation and lay the foundation for peaceful inter-Korean relations.
이 글에서는 화해교육과 평화교육의 접근을 살펴보고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전쟁 관련 교과서 및 계기교육 자료를 분석하고 화해교육과 평화교육의 관점에서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화해교육과 평화교육에서 전쟁 문제를 다룸에 있어 강조하고 있는 교육 목표와 내용을 살펴보고 교과 교육과정과 정부 기관 발행 계기교육 자료를 중심으로 교육 현황을 분석하고 의의와 한계를 제시한 후 한국전쟁에 관한 교육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학교에서 전쟁을 수업의 주제로 다루는 이유는 전쟁 그 자체를 역사적 사실로 이해하는 것을 넘어 전쟁이 인간의 삶을 어떻게 파괴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이해를 통해 더 평화로운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하기 위함이다. 연구 결과 제시한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쟁이 다양한 삶의 맥락에서 주는 교훈을 체득하는 과정이 되어야 한다. 둘째, 한국전쟁을 교육과정에서 왜 다루는가를 근본적으로 성찰하여 평화교육적 접근을 보다 강화한 교육 목표를 제시해야 한다. 셋째, 남과 북의 평화로운 관계 형성을 위해 전쟁에 대한 기억을 공동체적 기억으로 전환해야 한다. 넷째, 다양한 교과에서 교과 성격에 부합하는 목표와 내용으로 교육과정을 유기적으로 재조직해야 한다. 다섯째, 학교급별 학생의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교육과정과 교과서, 기타 교육자료 등을 구성해야 한다.
이 연구는 초·중·고에서 실행하고 있는 한국전쟁에 관한 교육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화해교육과 평화교육의 접근을 적용한 새로운 교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계기교육 자료가 개발되어 적용된다면 한국전쟁 이후 마음 깊이 새겨진 적대감을 화해로 전환하고 평화로운 남북관계를 만들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2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통일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3-2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논총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4 | 0.84 | 0.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89 | 1.222 | 0.1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