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문학의 금욕주의자들-자율성을 둘러싼 사랑과 자본의 경쟁- = The Ascetic Heroes of Korean Modern Novels
저자
강지윤 (연세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89-221(33쪽)
KCI 피인용횟수
4
DOI식별코드
제공처
This article argues that “love” and “capital” compete against each other to win a hegemonic position over the discourse of an “autonomous modern individual” in Korean modern literary history. It is well known that “love” as a spontaneous feeling was used as the main motif to mediate the notion of “the autonomous modern individual” in 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Capital,”on the other hand, which was usually considered to be a typical hindrance to true love, was in fact the most likely rival to “love” on account of the autonomy of the individual. While “love” seeks eternal inseparability, “money” is exchanged for and with everything. Many works from the early modern period compulsively represented this conflict in an “either love or money” manner. Colonial nationalism, which usually transcends personal desires to concentrate instead on “the big cause,” was often used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The ascetic heroes in well-known novels such as Lee Kwang Soo’s The Soil, Lee Gi Young’s Homeland, and Shim Hoon’s Evergreen, who sacrificed everything to be pioneers for poor peasants, can be psychoanalyzed as wanting to avoid becoming an object of desire by others, which means paradoxically to be a replaceable being. The method of describing their “Comradeship Love” problematically shows that their seeking a type of comradeship love is not based on what they want to do but on instead what they do not want to do. To find their true lovers, it appears that they must make a very long and difficult detour. They voluntarily choose city girls, who are transformed from sophisticated and urban figures to strenuous workers. In a sense, their lovers are heroes themselves with a hint of fetish as transformed bodies.
더보기한국 근대문학사에서 자유로운 사랑을 위한 욕망의 개방은 개인의 자율성을 드러내는 가장 핵심적인 서사적 기제였다. 그러나 관계의 개방성이란 사랑에 내포된 오랜 핵심적 관점, 독점적이고도 영구적인 합일이라는 관점과 충돌한다. 매혹의 이끌림에 스스로를 내맡긴다는 것은 주체를 대체 가능한 욕망의 대상으로 만드는 일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자유로운 개인의 관념을 촉발하고 있던 또 하나의 힘, 자본의 논리-모든 것의 교환가능성-는 관계의 개방에 대체가능성이라는 위협을 증폭시키고 있었다. 특히 식민지 조선에서 ‘개인’의 법적 근거가 배타적으로 재산권의 행사에 국한되어 있었다는 점을 상기해 보면 ‘자유로운 개인’이라는 관념을 둘러싸고 사랑의 담론은 ‘자본’이라는 요소를 자신의 경쟁 상대로 삼는 것이 불가피했다. 그러나 가능성의 과잉이라는 서사적 난국에 처해 식민지의 강력한 민족주의는 개인들의 사랑의 욕망과 배신의 소용돌이를 해결하는 존재로도 이용되었다. 이러한 서사적 해결 방식은 한국 근대문학사에 영향력 있는 문법을 제공했다. 즉 대주체로의 귀속에 의해 대체 가능성의 무한 연쇄로 이어질 수 있는 서사의 불안정성을 중지시키는 것이다. 이광수의 『흙』, 이기영의『고향』, 심훈의 『상록수』 등 ‘브나로드’ 운동이 자극한 한국형 귀향소설들은 이러한 문법을 이어받은 대표적인 예다. 이 같은 시도들은 자율적 개인의 의미에도 새로운 관점을 제공한다. 식민지의 ‘민족’이라는 상위주체는 ‘결여’의 상태로 언제나 ‘필요’를 요구했다. 귀향소설의 주인공들은 자발적으로 ‘필요의 대상’이 됨으로써 ‘개인적 욕망’이라는 문제로부터 스스로를 차단한다. 그들은 스스로 판단하고 선택하고 행동하지만 그 원인은 언제나 대주체의 필요로부터 제공받는, 자율적 존재의 역설적 모습을 재현한다. 주인공들의 귀향 그리고 그들의 연인들의 귀향의 성격은 모두 ‘개인적 욕망으로부터 면역되고자 하는 욕망’을 드러내는 것으로 읽힐 수 있다. 그것은 주체와 사랑의 서사로부터 자본의 문제를 지우려는 강박증의 형태로 나타난다. 주인공의 귀향이 배경으로 하는 도시와 농촌의 대립 구도는 ‘불필요한’ 자본주의적 욕망의 잉여를 오로지 도시에 거주(居住)하게 하려는 분리의 욕망처럼 보인다. 특히 이 소설들이 사랑에 대해 가지고 있는 결론적 관점인 ‘동지적 사랑’이라는 관념은 주인공들의 욕망이 ‘무엇을 원하는가’라기보다 ‘무엇을 원치 않는가’라는 방식으로 구축되어 있다는 사실을 궁극적으로 드러낸다. 마침내 주인공들은 육체와 정신의 온전한 합일이라는 사랑의 서사가 지향하는 소망 상태에 도달하지만 이 합일의 과정은 순수하고 건강한 농촌에서 연인을 만나는 형식이 아니라 도시로부터 이주해 온 연인들이 그들의 육체에 남아 있는 ‘물신’의 흔적을 고통스럽게 제거함으로써만 얻어지는 형식을 취하기 때문이다.
대주체로의 귀속에 타자를 분리해낼 수 있는 가장 강력한 계기인, 자본이라는 계기를 없앰으로써 결국 주체는 동일자와의 사랑에 도달하는 것이나 다름없게 된다. 한국 근대문학의 대표적 금욕주의자들의 여정은 이렇게 관계의 개방성이 관계의 동일성으로 귀착된 과정을 보여 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들의 영웅적인 희생은 비현실적으로 과장되어 있는 것처럼 보일지라도 여전히 독자의 마음...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1-10-1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INAKOS(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Korean Literature and Culture) -> INAKOS(International Association of Korean Literary and Cultural Studies)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07-05-0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Korean Literature and Culture -> INAKOS(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Korean Literature and Culture)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3 | 0.73 | 0.8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 | 0.78 | 1.756 | 0.1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