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군사적 측면에서 본 남북통일의 저해요인과 극복방안 = South-North Reunification from a Military Perspective: Focusing on Obstructing Factors and a Plan for Overcoming
저자
김재철 (조선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57-181(25쪽)
KCI 피인용횟수
4
제공처
This research focuses on military factors in its investigation of the factors obstructing Korean unification, for the purpose of presenting a plan for overcoming those factors. Despite noticeable progress in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over the past decade, the military standoff between the two sides continues, and a plan for easing the obstructing factors is of paramount importance for achieving unification of the peninsula in a peaceful manner.
The close alliances between the North and China, and between the South and the US continue to be maintained in the post-Cold War era. Under these conditions, other powerful countries are pursuing policies for their own advantage based in division of the peninsula rather than unification. Moreover, since the Korean War, mutual hostilities and arms stockpiling have grown increasingly severe on both sides. The basic factor underlying the continuation of military antagonism is the North's nuclear development program and military political system, both strategies for systemic survival after the Cold War.
These military factors obstructing South-North unification should overcome through peaceful means as followings: First, it may be predicted that the China's role as mediator will be vital to the process of South-US's resolution of the North's nuclear program, and that the South must therefore strengthen cooperative ties with China. Second, in the face of threats by the North to carry out military action while seeking to secure an upper hand in negotiations, the South must persistently employ as its rule a carrot-and-stick policy of dialogue and pressure. Third, in order to dismantle the cold war structure between the two Koreas, positive action must be taken to foster the building of military trust (military confidence-building measures). Building military trust must begin by promoting light agendas facilitating agreement and leading to actual performance. Fourth, as long as the North's weapons of mass destruction remain a viable threat, armament reduction will remain difficult to achieve, and therefore positive promotion of operational arms control will be necessary. Operational arms control desirably should be carried out in connection with peaceful utilization of demilitarized zones for various projects.
In order to overcome the military factors obstructing reunification that are still at a standstill, will require effort and wisdom to develop objective approaches and realistic plans for overcoming those factors.
본 연구는 민족의 최대염원인 남북통일의 저해요인을 군사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지난 10년간 괄목할 만한 교류협력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남북 간 군사적 대립관계는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바, 분단된 한반도를 평화적 방법으로 통일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군사적 갈등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안의 도출이 선결과제라고 하겠다.
탈냉전 이후에도 한반도는 북중혈맹관계와 한미동맹체제가 유지되고 있는 상황에서 남북통일에 대해 주변강국들은 세력균형 차원에서 현재의 분단 상황을 계속유지하면서 자국의 실리를 확보하려는 전략을 추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한국전쟁 이후 지속되어온 남북 간 적대감정과 군비경쟁은 탈냉전이후에도 계속되고 있으며, 이는 북한이 체제유지를 위한 생존전략으로 핵개발에 착수하면서 더욱 심화되고 있다.
군사적 저해요인들을 평화적 방법으로 극복하기 위해서는 첫째, 북핵문제의 해결과정에서 중국의 중재역할이 중요시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한국이 중국과의 협력을 강화하여야 하며 둘째, 협상의 유리한 고지 확보를 위해 북한이 군사적 위기를 조성하는 데 대해 한국은 대화와 압박을 병행하는 강온전략을 구사하여야 하며 셋째, 남북 간 냉전구조를 해체하기 위해서는 군사적 신뢰구축이 필요하고 넷째, 북한의 대량살상무기가 폐기되지 않는 한 군축의 시행은 어려울 것인 바, 운용적 군비통제를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한국은 지금까지 답보상태에 머물고 있는 군사적 측면의 남북통일 저해요인을 극복하기 위해 보다 현실성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노력함과 동시에 주변국가와의 협력강화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4-11-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Association of Northeast Asia Studies | KCI등재 |
2013-12-1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Northeast Asian Studies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5-29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동북아논총외국어명 : 미등록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9 | 0.49 | 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6 | 0.43 | 0.703 | 0.1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