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동쪽은 어디인가? – 팬텀의 공간 동쪽과 한스 울리히 트라이헬의 문학적 기억 = Wo liegt der Osten? - Ort des Phantoms und die Erfindung der Erinnerung bei Hans-Ulrich Treichel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5-158(24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Der ehemalige deutsche Osten wird in der deutschen Literatur neuartig entdeckt, thematisiert und erzählt. Die vorliegende Untersuchung geht von der Problemstellung aus, ob die Literatur jenseits der Metadichotomie von Täter und Opfer zur Herausbildung einer postnationalen Erinnerungskultur beitragen kann. Gelesen und analysiert werden die drei Romane von Hans-Ulrich Treichel Der Verlorene(1998), Menschenflug(2005), und Anatolin(2008). Sie kreisen immer wiederkehrend um die biographische Lücke des Autors, die von der transgenerationellen Traumatisierung herrührt. Die Eltern, sog. Ostdeutsche, haben ihre traumatische Erfahrungen auf der Flucht gen Westen verdrängt und der Autor als die darauffolgende Generation muss die Lücke, die durch “die Telescopage der Generationen”(Faimberg) in ihm erzeugt wird, vergegenständlichen. Treichel setzt sich hartnäckig mit der biographischen Lücke auseinander, indem er die Erinnerung an das, was gewesen ist, erfindet. Die vorliegende Untersuchung zeigt die Wiederholung und die Verschiebung der narrativen Erfindung der Erinnerungen, wobei sie den Begriff “Phantom”(Abraham) heranzieht und den Osten in den o.g. Romanen als Ort des Phantoms ausdeutet. Und sie erschließt daraus, dass Treichel durch seine Art von literarischer Erinnerung die Lücke offenlegt, ohne sie durch das erfindende Erzählen ersetzen zu wollen, einen der Literatur eigenen Beitrag zur Herausbildung der transnationalen, europäischen Erinnerungskultur.
더보기동유럽이 독일문학에서 다각도로 조명되고 있다. 그 한 경향이 20세기 침략전쟁으로얼룩진 비극의 장소였던 오더-나이세 경계 동쪽을 소환하는 기억문학이다. 본 연구는 동유럽을 기억의 장소로 발견하고 상상하고 연출하는 문학이 가해와 피해의 메타프레임과차별되는 기억문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세대간 ‘텔레스코핑’ 및 ‘팬텀’ 개념을 분석의 도구로 차용하여, 한스 울리히 트라이헬의가족소설 『실종자』(1998), 『인간비행』(2005), 『아나톨린』(2008)에 나타난 문학적 기억을분석하고 그 의미를 평가한다. 트라이헬 문학의 배경에는 성격이 다른 두 종류의 트라우마적 경험이 있다. 동유럽 독일인이자 피난민이었던 부모가 트라우마적 경험의 기억을억압하면서, 전후에 태어난 자식은 유년기 기억이 부재하는 트라우마를 겪는다. 이로부터 생긴 ‘전기(傳記)의 빈틈’은 트라이헬 문학의 원점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의 가족소설은 기억을 만들어냄으로써 그 빈틈에 맞선다. 트라이헬은 반복해서 전기적 빈틈의 문제를 다루는데, 문학적 기억으로 그 빈틈을 메우거나 채우지 않고 오히려 빈틈의 존재를드러내고 그 절대성을 끊임없이 확인한다. 본 연구는 여기에서 문학이 기억문화에 개입하는 윤리적인 한 방식을 찾는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2-2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ische Gesellschaft Fuer Germanistik -> Koreanische Gesellschaft für Germanistik | KCI등재 |
2018-01-1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독일문학 -> 독어독문학외국어명 : DOKIL MUNHAK -> Koreanische Zeitschrift für Germanistik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1-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8 | 0.28 | 0.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2 | 0.2 | 0.459 | 0.1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