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PjBL기반 학생주도적 활동을 통한 음악사 학습에 대한 고찰 = Enhancing Music History Learning through Student-Centered Project-Based Learning
저자
김영미 (계명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81-298(18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연구는 음악대학의 기초필수 교과인‘음악사’를 학습자 활동 중심으로 운영하여 음악사에 대한 포괄적 이 해와 연주자 역량 개발 연계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대구시에 소재한 K대학의 관현악 전공 1학년 학생 들로, 서양 예술음악 발달사를 시대별 음악 양식의 변천과 더불어 사회·문화의 맥락적 이해를 이루고자 하였 다. 음악전공 1학년 필수이수교과인‘음악사’는 다양하고 방대한 학습 내용으로 인해 교수자가 정보를 전달하고 학습자는 암기하는 교육으로 진행되고 있어서, 연구자는 학생들의 포괄적 이해를 돕고 연주 역량과 연계를 이 루는 교육과정을 개발하고자 했다. 그리고 1년간 2개 학기에 결쳐 팀 기반 프로젝트(Project-Based Learning) 교수를 적용하여 음악사 연대기 제작과 연주 프로그램 설계를 하여 학습자가 직접 발표하고 연주하 는 활동을 하도록 하였다. 학습자들은 연대기를 제작하고 발표하며 역사적 흐름에 대해 포괄적인 이해 형성에 도움을 받았고, 연주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실제로 연주하며 음악사적 지식을 악곡의 해석에 적용하려 하였다. 또한, 팀 기반으로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팀 구성원 간 상호소통 능력과 협업 능력에서 긍정적인 성장이 이루어가는 모습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암기할 내용이 많은 어려운 교과로 소극적으로 수업에 임하던 자세를 직접 활동하며 적극적으로 학습하려는 긍정적 모습을 보였다.
더보기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connection between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music history and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competencies by implementing a learner-centered approach to Music History, a foundational required course at a college of music. The participants were first-year orchestral instrument majors at K University in Daegu, South Korea. The course was designed to ex- plore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Western art music by examining stylistic changes across eras within their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Traditionally, Music History has been taught in a teach- er-centered manner, focusing on information delivery and student memorization due to its vast and complex content. To address this, the researcher developed a curriculum that supports holistic un- derstanding and connects directly to performance practice. Over two semesters, a Project-Based Learning (PjBL) model was applied, guiding students to collaboratively create music history timelines and design performance programs. Students actively presented and performed their work, applying historical knowledge to musical interpretation. Through this process, they gained a broader per- spective on historical continuity and demonstrated efforts to incorporate this understanding into their performances. Furthermore, working in teams fostered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skills. As a result, students who had previously engaged passively due to the challenging nature of the course showed increased motivation and a proactive attitude through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