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 한의서를 중심으로 살펴본 ‘비훈(鼻熏)요법’의 활용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Use of Bihoon (鼻熏) Therapy, which focuses on Korean traditional medicin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99-113(15쪽)
제공처
본 논문은 비훈요법의 문헌학적 기반을 찾기 위한 연구이다. 비훈요법은 현재까지 별도의 문헌학적 연구가 없으며, 이러한 이유로 명확한 정의나 구체적인 치료 매뉴얼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한의서를 중심으로 비훈요법과 관련된 문헌자료들을 조사하여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이를 분석해보았다.
비훈요법과 관련된 자료는 45종의 의서에 약 1000여건이 있었다. 이들은 크게 1. 인사불성 등의 급성 질환, 2. 코, 머리, 눈, 인후 등 인체 상부 질환, 3. 출산과 관련된 여성 질환, 4. 기타 피부 질환과 전염병 예방으로 분류되었다. 인사불성 치료의 경우 환자의 정신을 깨우는데, 코, 머리, 눈, 등의 질환 치료는 각 증상을 해소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출산과 관련된 증상은 주로 출산후 혼절이나 자궁 탈출의 치료에, 피부질환류는 양매창 등 잘 낫지 않는 질환 치료가 주를 이루었다.
추후 비훈요법에 대한 다각적 접근이 더해진다면 임상적 활용도 역시 높일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This paper is a study to find the philological basis of Bihoon (鼻熏) therapy. There is no separate philological study of Bihoon therapy to date, and for this reason, there is no clear definition or specific treatment manual. In this study, a related database was created and analyzed by examining literature data related to Bihoon therapy, focusing on Korean traditional medical books. There were about 1,000 data points related to Bihoon therapy in 45 kinds of medical books. They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1. Acute diseases such as insensitivity, 2. Diseases that occur in the upper human body such as nose, head, eyes, and throat, 3. Women's diseases related to childbirth, 4. Treatment of skin diseases and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s. In the case of insensitivity treatment, the focus was on awakening the patient's mind, and the treatment of diseases such as the nose, head, eyes, etc. was focused on resolving each symptom. Symptoms related to childbirth were mainly treated for uterine escapism or fainting after childbirth, while skin diseases were mainly treated for diseases that did not heal well, such as amniotic fluid. If a multifaceted approach to non-discipline therapy is added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clinical utilization will also be increased.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