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자유 발도르프 학교의 음악교육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Music Education of the Free Waldorf School in Germany
저자
임성화 (이화여자대학교 음악교육)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0
작성언어
Korean
KDC
374.67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01-318(18쪽)
제공처
소장기관
본 논문은 인지학(Anthroposophie/人知學)을 통하여 인간과 세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함으로서 획일화된 교육의 패러다임을 전환하는데 크게 기여한 독일의 루돌프 슈타이너(Rudolf Steiner/1861-1925)의 교육사상을 근거로 하여 설립된 자유 발도르프 학교(Freie Waldorfschule)의 음악교육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독일의 자유 발도르프 학교의 창시자인 루돌프 슈타이너의 교육사상인 인지학과 발도르프 학교의 전반적인 특징을 살펴보고 슈타이너의 교육사상 중에서 음악과 관련된 음악교육 사상을 정리하고 고찰하였다. 또한 이와 연결하여 현재 발도르프 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음악교육의 특징을 살펴보고 1학년부터 12학년까지 실시되는 음악활동을 핵심적으로 정리하여 봄으로서 우리의 음악교육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는 목적을 가진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크게 문헌연구의 방법을 토대로 하여 루돌프 슈타이너의 사상과 교육철학을 살펴보고 발도르프 학교의 음악교육의 활동을 그 교과과정상에 나타나는 특징을 중심으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정리된 슈타이너의 인지학적 음악관과 발도르프 학교의 음악교육의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슈타이너의 교육사상은 인간에 대한 올바른 인식에 기초를 두고 있다. 그는 인간의 본질이 육체, 영혼, 정신으로 구성되었다고 보았고 특히 음악이 인간의 영혼에 필수적인 것이라고 여겼기 때문에 음악을 모든 교육의 바탕으로 삼고 있다.
슈타이너가 제시하는 인지학적 음악관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만 9세가 될 때 까지 모든 노래에 오음 음계로 된 곡을 사용하도록 한다. 아이들의 가창에 특별한 관심을 보이고 있는 슈타이너는 5음 음계를 통해 장조와 단조의 조성 이원화를 탈피하여 자유로운 조성감을 갖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이다. 둘째, 음악은 원천적 리듬과 박자의 학습 매개체가 된다. 인간이 자연스럽게 호흡을 하는 과정을 통해서 발생하는 리듬과 맥박이 규칙적으로 뛰는 것으로 인해 형성되는 박자를 음악을 체험하면서 학습할 수 있다. 이것은 음악이 인간의 신체활동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있는 예술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셋째, 음악은 인류의 역사와 깊은 관련성 가운데 함께 성장해 왔다고 본다. 따라서 음악이 역사적으로 발달해 온 과정대로 수업을 진행하도록 하여 인간이 어떠한 흐름으로 변화되었는지를 학생에게 알게 하고 교사들이 학생 개개인의 성장을 그 틀에 맞추어 이해하도록 시도한다.
최근 새로운 대안적 학교모델의 하나로서 그 실천의 노력을 평가받고 있는 발도르프 학교의 음악교육은 위에서 언급한 슈타이너의 인지학적 음악관을 바탕으로 하여 철저하게 학생의 발달단계에 따라 의지, 감정, 사고를 온전하게 성장하기 위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인식하는 음악활동, 아동의 감성계발을 중시하는 음악활동, 인류학적 측면에서 구성된 음악활동이 교과과정 전반에 실행된다. 이것은 한편으로는 인간 교육적 측면에 가치를 두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교육과정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운영함으로서 음악교육의 이중적 효과를 가지는 것에 목적을 두는 것이다.
슈타이너의 인지학적 교육사상과 그에 근거한 발도르프 학교의 음악교육은 제 7차 교육과정의 시행을 앞두고 근본적인 방향 전환을 필요로 하는 시점에 있는 우리에게 입시위주의 교육적 상황에서 변질된 우리의 음악교육이 본래적 모습을 회복할 수 있도록 자극하며, 다양하고 새로운 음악활동을 통해서 우리의 음악교육이 자리매김 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music education of Waldorf School in Germany based on the education thoughts of Rudolf Steiner(1861-1925) who contributed to changing the paradigm of uniform education with a new approach to human beings and the world through anthroposophy.
In this research, anthroposophy, the thought of Rudolf Steiner, the founder of Waldorf School in Germany, the education, and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Waldorf School were studied. Music education thought related to music in Steiner's education thought are summarized. Connected with this,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education operating in the Waldorf School and music activities from 1st grade to 12th grade are studi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give suggestions for pursuing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 education.
The methods of research were 1) to study the thought and educational philosophy of Rudolf Steiner based on referred literature and 2) to theoretically investigate activities of music education in Waldorf School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its curriculum.
Through this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this music education system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Basis of the thought of Steiner's educational theory, music education in Waldorf School, evaluating efforts of its practice as a recent alternative proposed school model, has been throughly operating to enable student's wills, feelings and emotions and thoughts to develop properly according to their stages of development on the assumption that music is a necessity of human souls. Related to this, music activities that recognize the relations between human beings and nature, take a serious view of children's sensibility development and are consistent with anthropology's perspective are performed throughout the overall curriculum. Not only valuing the human education perspective but also operating curriculum effectively and systematically, it pursues the double effect of music education.
The education thought of Steiner is based on correct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He thought the essence of a human being consists of body, soul and spirit, and that music was the foundation of all education because he especially considered music as essential to human souls. The musical perspectives of anthroposophy Steiner suggested are as follows;
First, all the songs should use the pentatonic scale until the children become nine years old. Steiner, who had special interest in the vocalism of children, got away from the tonal duality of major and minor, to use free tonality. Second, music is learning the medium of the well-spring of rhythm and meter. Formed meter through regular rhythm and pulses coming from the breathing of human beings an naturally can be learned through music. This is made possible because music is an art having direct relation to the physical activities of human beings. Third, music has been growing together in deep relationship with human history. Teachers guide their classes to progress through the process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music. They teach the students know what stream human beings must follow in order to change and try to understand each individual's growth according to this model.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is study is 1) the thought of Steiner's anthroposophy and the music education of Waldorf School based on it give us encouragement to restore the original direction of our music education from middle or high school entrance examination - centered educational situation at this point of time which is needed to fundamentally change the direction before putting into effect the 7th curriculum, and 2) also to give us fresh possibilities to our music education through new and varied music activitie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