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미성취 영재를 위한 교육적 중재에 관한 연구 = Educational intervention strategies for gifted underachiever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영재와 영재교육(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ifted and Talented)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7
작성언어
-주제어
KDC
370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3-48(26쪽)
KCI 피인용횟수
8
DOI식별코드
제공처
미성취 영재 혹은 학습부진 영재는 표준화된 지적 능력이나 성취도 검사 혹은 관찰 자료 등을 통하여 탁월한 수행을 보여 전문가에 의해 지적 영재로 판명된 학습자 중에서, 학업과 관련된 과제에 대한 실제 수행수준이 기대되는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학습자라고 정의할 수 있다. 미성취 영재는 표준화된 검사도구나 교사와 학부모의 관찰 등에 의해 판별된다. 영재의 미성취를 유발시키는 개인적 요인은 부정적인 학업적 자아개념, 학습동기 부족, 학습기술 혹은 학습전략 부족이며, 가정 요인은 부모의 부적절한 양육 형태, 가정에서의 부적절한 역할 모델, 지나친 부모의 기대나 압력이다. 또한 미성취와 관련된 학교 요인은 학급풍토, 부정적 기대, 또래들의 압력, 교육과정 등이다. 미성취 영재를 위한 중재 전략은 아동의 성공적인 성취에 방해가 되는 개인의 심리적 문제나 가정과 학교에서 직면하는 정서적 문제를 해결하여 아동의 자아개념을 향상시키고 학교에서의 수행을 개선하려는 상담을 통한 중재 전략과 교수-학습 상황에서 미성취의 원인이 되는 아동의 인지적 문제를 해결하고 교육과정이나 교육방법에 변화를 주어 정상적인 학업 수행을 유도하려고 하는 교수적 중재 전략이 있다. 지적 영재의 미성취를 치료할 목적으로 계획되는 프로그램을 안내해 줄 수 있는 원리에는 미성취의 원인을 파악하여 개별화된 중재 전략 수립, 아동의 재능 및 흥미 초점, 학습기술이나 학습전략과 관련된 결함 교정, 학습동기 유발 전략, 자아개념 증진 전략, 개개인에 대한 사회적, 정서적 지원 구조 구축, 교사와 학부모간의 긴밀한 협력 등이 있다.
더보기While it is true that underachievement among gifted students has become a popular topic for research, it is still a major concern of educators, researchers, and teachers. As with giftedness, there was no consensus in defining the gifted underachiever. But the underachieving giftedness is generally defined as a discrepancy between the potential of an individual and their performance level. Gifted students underachieve for many different reasons. For example, personal, school, and family factorsmight affect levels of underachievement. Recent research in this area calls for not only the recognition of special talents and abilities of these students but also for appropriate programming. Several studies highlighted the need for counseling and instructional intervention for gifted underachiever. The main objective of any intervention is to reduce the disturbing symptoms and to foster the child"s capacity to be control of his own life in ways that will serve his best interests. But the factors identified as causal in the underachievement of gifted students are varied and numerous, the interventions designed to address these factors have met with limited success. That is to say, underachievement and its reversal are complex and unique to each child. No prescription or formula can be written that is appropriate for all gifted underachievers. The following guidelines for educational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drawn from the previous studies.<BR> 1. Individually designed to address the unique situation of the underachiever.<BR> 2. Focus on developing the strengths and interests of the child.<BR> 3. Teach and remedy study skills and learning strategies.<BR> 4. Specify the strategies for motivating the gifted underachievers.<BR> 5. Focus on improving the students" self-concept.<BR> 6. Construct the social and emotional support systems for the gifted underachievers.<BR> 7. Cooperate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KCI등재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6 | 1.26 | 1.1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5 | 1.26 | 1.751 | 0.0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