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SCIE
SCOPUS
자기 공명 영상을 이용한 허혈성 승모판폐쇄 부전증의 원인기전 규명. = Etiologic Evaluation of Ischemic Mitral Regurgitation Using Cardiac MRI.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4
작성언어
-등재정보
KCI등재,SCIE,SCOPUS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627-635(9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소장기관
Background and Objectives:To evaluate the 3 dimensional geometric changes and the effect of revascularizationin patients with ischemic mitral regurgitation (IMR), using cardiac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Subjects and Methods:Twenty-three patients with IMR, 10 with dilated cardiomyopathy with MR (DCMMR)and 7 control subjects were enrolled. Hemodynamic indices, severity of MR, geometric parameters ofmitral apparatus and myocardial viability were evaluated in all patients, and re-evaluated in the IMR patients6 months after the revascularization. Results:The mitral tenting area (TAA) (334.1±111.7 mm2 vs. 222.9±123.0 mm2, p=0.16) and the sum of the tenting angles (TA) (72.9±12.9°vs. 51.5±11.1°, p<0.001) at the mid-systolicphase were increased in the IMR compared to the DCM-MR patients. In the IMR patients, the MR severity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um of the tethering lengths (r=0.522, p=0.011), LVESV (r=0.551, p=0.006), TAA (r=0.613, p=0.002) and TA (r=0.713, p<0.001). Of the 10 patients with viable myocardium, who hadbeen revascularized without surgical repair of the mitral apparatus, the MR severity was decreased (28.3±10.4%vs. 16.5±7.6%, p=0.009) in 7 patients, with decreases in the sum of the tethering distances (51.2±13.9 mm vs.40.2±9.1 mm, p=0.034), tenting area (299.2±93.8 mm2 vs. 215.0±63.6 mm2, p=0.036) and sum of the tenting angles(72.9±12.9° vs. 56.2±14.8°, p=0.015) 6 months after the revascularization. Conclusion:IMR was relatedwith the geometric change in the mitral apparatus. Cardiac MRI can be an effective tool for evaluating thesegeometric changes and when formulating a treatment plan.
더보기배경 및 목적:승모판 폐쇄부전증은 심근경색증 환자의 19%에서 관찰되는 허혈성 심장질환의 흔한 합병증이며, 좌심실의과부하와 폐동맥 고혈압을 초래하여 좌심실 부전을 악화시키는 불량한 예후 인자이다. 심장 자기공명영상은영상의 해상도와 3차원적으로 심구조 및 기능의 평가가심초음파 보다 우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본 연구에서는 허혈성 심질환으로 인한 승모판 폐쇄부전증 환자에서,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승모판 폐쇄부전증의 정확한 원인기전을 밝히고, 재개통 후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정확한 치료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방 법:관동맥조영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50% 이상의 관동맥 협착소견을 보이고 심초음파 소견상 좌심실의 국소적 또는 전체적 심실벽운동의 이상을 동반한 경우로 다른 판막의 이상 없이 Ⅱ-Ⅳ도의 승모판 폐쇄부전을 나타내나 승모판의 형태는 정상인 환자 23명과 기능적 승모판 폐쇄부전증을 동반한 확장성 심근병증 환자 10명,심기능이나 구조적 심질환이 없었던 환자 7명을 대상으로 심장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여, 좌심실의 내경과 용적 측정 및 수축기 기능, 유두근 기시부를 포함한 좌심실벽의 국소 운동, 좌심실의 생존력을 평가 하였다. 3차원 기하학적 관계로 승모판륜-유두근 첨부거리, 승모판륜의 면적, 승모판엽과 승모판륜이 이루는 면적(tentingarea), 각도(tenting angle)와 승모판 역류의 양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허혈성 승모판 폐쇄 부전증 환자에서, 재개통 혹은 수술적, 내과적 치료 6개월 후의 승모판 역류 정도와 기하학적 인자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 과:
허혈성 승모판 폐쇄부전증 환자군은 확장성 심근병증에
의한 승모판 폐쇄 부전증 환자군에 비해 좌심실의 비대칭적
확장 및 유두근의 전위로 인해, 승모판륜과 소엽에 의해 이
루어 지는 중수축기 tenting 각도의 합(72.9±12.9°vs.
51.5±11.1°, p<0.001)과 tenting 면적(334.1±111.7
mm2 vs. 222.9±123.0 mm2, p=0.16)의 증가와 좌심
실 구형지수의 감소(1.24±0.17 vs. 1.54±0.22, p<
0.001)를 관찰할 수 있었다. 허혈성 승모판 폐쇄 부전
증 환자군내에서는 승모판 역류분획이 전승모판륜-유
두첨부 거리의 합(r=0.522, p=0.011), 수축기말 좌심
실 용적(r=0.551, p=0.006), tenting 면적(r=0.613,
p=0.002), tenting 각도의 합(r=0.713, p<0.001)과 비
례하여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단순 승모판륜 면
적과는 비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공명영상에
서 유두근 기시부위의 생존력이 있던 환자 10명 중 7
명은 재개통 후 승모판 폐쇄부전의 호전을 관찰할 수 있
었으며, 이들은 모두 승모판 부속기관의 기하학적 인자
의 호전을 통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결 론:
허혈성 심질환에 동반되는 승모판 폐쇄 부전증은, 유
두근 기시부를 포함한 좌심실 벽의 국소운동장애 및 재
형성에 의한 승모판 부속기관의 기하학적 인자 변화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며, 심장 자기공명영상은 이러한
변화뿐 아니라 심근의 생존력까지 분석이 가능하여 치
료방법의 결정에 큰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5-15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대한순환기학회 -> 대한심장학회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irculation -> The Korean Society of Cardiology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8-02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Korean Circulation Journal외국어명 : Korean Circulation Journal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3 | 0.34 | 0.7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5 | 0.36 | 0.52 | 0.1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