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삼국시대 금관에 관한 고찰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83-295(13쪽)
KCI 피인용횟수
2
제공처
삼국시대 금관은 관모의 대표적인 형식으로서 삼국 중 신라고분에서 집중적으로 출토되고 있다. 공통적으로 영혼불멸과 사후 세계의 내재 사상과 주술적인 상징을 담고 있는 동시에 불교적 사상도 담겨져 있으나 각 나라의 지역적 특색과 개성으로 문화적인 특성과 차이점을 보여주고 있다. 고구려는 강건함과 동적인 미가 특징으로 풀꽃무늬와 인동무늬 등의 투각기법이 유난히 많은 점의 특색을 가지고 있다. 그 밖에 용과 봉황무늬, 삼족오등의 불교적 상징의 장식문양이 표현되었다. 백제는 평화롭고 낙천적이며 우아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나 고구려의 금동 관과 매우 유사하여 주목을 끈다. 백제의 금관에서도 태양을 상징하는 화염무늬가 새겨져 있는데 왕의 권위를 표현하고 있다. 신라는 중국과 여러 외래 문물을 수용하여 불교를 공인하면서 체제를 정비하였는데 삼국 중 가장 화려하고 다양한 재료로 풍부한 표현력을 엿볼 수 있다. 금관의 외형을 이루는 녹각, 입식에 장식되거나 도안화하여 표현한 조형, 태아의 모습을 닮아 다산을 상징하는 곡옥, 금관 입식 수지의 끝부분을 장식하여 보주형에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다. 가야는 신라의 유물처럼 화려하지는 않지만, 단순간결하면서도 세련된 유물들이며, 마구, 기명 등에서는 뛰어난 도금기법도 짐작 하게한다. 도금 기법을 나타내는 예로서는 고령 출토 금관이나 일본 도쿄국립박물관 소장 오쿠라(小倉) 소장품에 들어있는 금동제관에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삼국시대 금관의 일반적 고찰과 조형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선행적으로 관계문헌과 논문 등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삼국의 시대적 배경과 종교적인 배경을 통하여 내면적인 정신세계를 알아보고 금관의 형태와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여 우리 공예문화의 조형정신을 바로 세울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내용으로는 삼국 금관의 시대적 배경과 사상적 배경을 고찰하고 삼국 금관의 조형적 형태와 상징적 의미를 연구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삼국의 금관에 내재된 사상과 여러 가지 상징적 의미를 담아 표현하려는 장인정신은 한국의 조형성의 정체성을 찾아줄 것이며 퇴색해 가고 있는 한국 고유의 예술적 감각을 살려 세계의 예술적 중심이 될 수 있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더보기These crowns during the three kingdoms era represent the official hats and are discovered a lot especially in Shilla tombs, one of three kingdoms. They shares immortality, immanence of afterlife and symbolic shamanism including buddhistic ideas but also shows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according to each nation`s local uniqueness and individuality. Goguryeo crowns show robustness and dynamic beauty and they are characterized as bratticing techniques such as flowering plant shapes and honeysuckle shapes etc. are used a lot. In addition, buddhistic patterns like shapes of dragon, phoenix and ``Sam Jog O``, which means crows with three feet, are expressed. In case of Baekje, they show peaceful, positive and gracious characteristics but it draws people`s attention in that they are very similar to those of Goguryeo`s crowns made of gold and copper. Flame patterns are inscribed in them representing the sun which show authority of kings. Shilla developed their systems through authorizing buddhism by opening the doors to China. Their crowns show the most showy patterns among three kingdoms and used most various kinds of materials in which we can experience their plentiful expressions. Antlers are composed of the outlook of gold crowns, carefully designed moulded arts are decorated in eminent ornaments, ``Gokok``, which means bent jade, represents fecundity cause of its resembling fetus and precious beads contain symbolic meaning decorated at the end of standing ornaments made of tree branches of golden crowns. In case of Gaya, their crowns are not as showy as those of Shilla but simple and sophisticated and we can guess they had excellent coating skills in horse equipments etc. The examples showing their great skills in coating can be watched in golden crowns discovered in Koryoeng and the crowns made of gold and copper placed in the Okura collection of Tokyo national museum. In conclusion, we found out the shape of gold crowns during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and what they symbolize. And I hope that our efforts to figure out the internal ideas and the moulding skills contained in those golden crowns can help establish correctly the spirit to mould of our industrial art culture. First of all, data and materials had been collected and studied through treatises and related literature to look at gold clowns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consideration of general research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set up foundation for formative spirit of our art crafts culture while studying spirit of inner side and analyzing forms and special features of gold clowns based on historical and religious background in three kingdoms period. The content of the study is including research of historical and ideological background and as well as formative shapes and symbolic meanings for gold clowns in three kingdoms period. Through this study, we are going to see the spirit of artisanship which had been expressed with symbolic meanings and ideologies in gold clown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as a result, it is going to be a foundation for Korean traditional arts to become a leader in the world.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5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2 | 0.5 | 0.732 | 0.0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