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사회심리적 요인이 온라인 사적제재 참여경험에 미치는 영향- 공정세상신념, 샤덴프로이데, 도덕적 과시를 중심으로 - = The Influence of Socio-Psychological Factors on Participation in Online Vigilantism: Focusing on Belief in a Just World, Schadenfreude, and Moral Grandstanding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93-119(27쪽)
제공처
최근 국내에서 온라인에서의 사적제재가 광범위하게 발생하고 있다. 사적제재는 정당한 법적 절차를 거치지 않고 개인이나 집단이 특정인을 응징하는 행위로, 무고한 피해자가 발생할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의 사적제재의 특성을파악하여 이에 적합한 대응 방안 모색이 요구된다. 특히, 파편화된 개인이 참여하는 온라인환경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인의 사회심리적 요인이 사적제재 참여에 대한 영향을 실증적으로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국내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샤덴프로이데와 도덕적 과시 수준이 높아질수록 사적제재 참여 역시 증가하고, 공정세상신념 중 일반적 분배공정성 믿음이 높을수록 사적제재 참여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대가 온라인 사적제재 경험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공정세상신념은 온라인 사적제재의 관계에서 도덕적 과시를 매개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개인의 도덕적 신념의 표출보다는 개인의욕구충족을 목적으로 온라인 사적제재 활동에 참여하는 경향이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이와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국내 사적제재 참여자의 참여 동기에 관련된 사회심리학적 요인들에대하여 실증적으로 검증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더보기Online vigilantism has become a widespread phenomenon in Korea, raising significant concerns due to its potential to harm innocent individuals. Defined as the punishment of others by individuals or groups without legal procedures, online vigilantism requires a deeper understanding and effective countermeasures. This study examines the psychosocial factors influencing participation in online vigilantism, focusing on the fragmented nature of online environments. A survey of 1,000 Korean adults revealed that higher levels of schadenfreude and moral grandstanding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participation in online vigilantism, while a stronger belief in distributive fairness within just-world beliefs reduced participation. Age also emerged as a key factor influencing experiences of online vigilantism. Additionally, just-world beliefs were found to indirectly affect participation through moral display as a mediating factor. The findings suggest that participation in online vigilantism is more driven by personal desires than moral convictions. These insights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motivations behind online vigilantism and developing strategies to address its social impact.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