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공소장일본주의 위반과 공소사실불특정의 소송법상 효과 = Illegality of the Stated Facts or Attached Documents in the Indictment and Their Remedy
저자
나기업 (대한법률구조공단)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50(50쪽)
제공처
형사절차상 소송행위의 무효치유에 관해서는 일반적 법규칙이 존재하지 않는다. 통상 소송행위에 무효원인이 있는 경우 진실원칙과 적법절차원칙 간 충돌국면이 발생하며, 수소법원은두 원리들 간 비중평가를 통해 결론을 내려야 한다. 그러나 공소제기의 무효에 관해서만큼은, 효력규정위반의 법효과를 법규칙인 형사소송법 제327조 제2호에서 확정적으로 정하는 이상, 그러한 방법론에 의한 하자치유는 가능하지도 필요하지도 않다.
대법원 2009. 10. 22. 선고 2009도7436 (全)판결의 다수의견은 공소장일본주의를 법원리로파악하고, 공소장에 증거를 첨부・인용하거나 예단형성적 사실을 기재했더라도 원리간 비중평가를 통해 하자가 치유될 수 있다고 하면서 그 기준시점을 증거조사절차 종료시로 설정한다.
그러나 제327조 제2호가 법규칙이고, 공소장일본주의 위반은 법률의 규정인 검찰청법 제4조제3항 위반으로서 형사소송법 제327조 제2호의 공소기각사유를 구성하는 이상, 수소법원은하자발견시점을 불문하고 언제나 공소기각판결을 해야 한다.
공소사실이 특정되지 않은 경우, 불특정의 정도가 중하다면 곧바로 공소를 기각하고, 상대적으로 그 정도가 덜하다면 우선 검사에게 보정의 기회를 부여한 후 적절한 보정이 이루어지지않았을 때 비로소 공소를 기각해야 한다는 설명이 대체적이다. 그러나 공소사실이 특정되지않았다면 이는 공소제기의 절차가 제254조 제4항의 규정에 위배되어 무효인 때에 해당하므로그 정도가 중하든 지엽적이든, 보정이 있든 없든 법원은 공소를 기각해야 한다.
In criminal trials, there is no general legal rule regarding the possibility of validating defective procedural acts and the necessary conditions or procedures to do so. Therefore, determining the validity of procedural acts often presents challenging issues, frequently leading to intense disputes. This scenario typically involves a conflict between the principle of truth-finding and the principle of due process, where the court must reach a decision by balancing these principles against each other. However, regarding the invalidity of indictment, since the legal effect of violating procedural rules concerning indictment is definitively stipulated as a legal rule under Article 327, Subparagraph 2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curing such defects by weighing principles is neither possible nor necessary.
The majority opinion in Supreme Court Decision 2009Do7436 (en banc), rendered on October 22, 2009, interprets the principle of indictment-only as a legal principle. Accordingly, even if evidence is attached to or cited in the indictment, or facts that could lead to prejudgment are included, these defects can be cured if no objection is raised and the evidence investigation process is concluded.
However, as Article 327, Subparagraph 2, is a legal rule, and violations of the indictment requirement constitute grounds for dismissal under Article 327, Subparagraph 2, due to the breach of Article 4, Paragraph 3 of the Prosecutors' Office Act, the court must always render a dismissal judgment upon discovering such a defect, regardless of the timing of its discovery.
In cases where the facts of the indictment are not specified, the prevailing explanation is that if the degree of indefiniteness is serious, the indictment should be dismissed immediately, and if the degree is less severe, the prosecutor should first be given an opportunity to correct it, and only if the correction is not properly made should the indictment be dismissed. However, if the facts of the indictment are not specified, this constitutes an invalid indictment due to a violation of the procedural requirements under Article 254, Paragraph 4, and regardless of the severity of the defect or whether a correction is made, the court must dismiss the indictment.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