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중국 인터넷 유행어 ‘X侠’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ternet Buzzword ‘X侠’ in China
저자
김미경 (부산외국어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57-188(32쪽)
제공처
본 논문은 최근 중국 인터넷에서 유행하는 ‘X侠’ 신조어에 대한 연구이다. 실질형태소인 ‘侠’은 중국 전통 가치관에서 의기, 도움, 용기, 능력 등의 의미를 내포하며, 어근 결합을 통해 오랜 기간 새로운 어휘를 생산해왔다. ‘X侠’ 구조는 한나라 시대 ‘游侠’로 거슬러 올라가며, 현대에는 대중 무협소설, 외국 애니메이션, 영웅주의 영화 등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다. 특히 2014년 ‘键盘侠’의 유행 이후, ‘X侠’ 신조어는 ‘侠’의 본래 의미가 약화되거나 탈구체화된 준접미사 파생어로 확산되었다. ‘X侠’ 신조어가 준접미사에 의한 파생어임을 확인하기 위하여 ‘侠’이 본래 지닌 [+정의로운 지원], [+능력], [+인간 중심], [+사회적 가치성] 등 네 가지 의미항을 기준으로 의미 허화 단계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X侠’은 특정 행위를 하는 사람을 지칭하는 일반적 의미로 변모하며, 남을 돕는 사람, 억울함을 당한 사람, 부정적 행동을 하는 사람, 특정 직업군, 기업ㆍ소프트웨어 명칭 등 다양한 화용적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X侠’ 신조어의 형성은 언어경제성, 일반화, 문법화(은유, 유추 등)와 같은 언어 내적 요인과 인터넷 발전, 사회ㆍ문화적 변화, 밈의 확산과 같은 언어 외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인터넷은 신조어 창조와 확산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하며, ‘X侠’은 대중적 관심 속에서 현대 중국어 어휘 체계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
더보기This study explores the formation and semantic evolution of the “X侠” neologisms currently trending on Chinese internet platforms. The morpheme “侠”, a core lexical element, has traditionally symbolized chivalry, altruism, courage, and capability within the context of Chinese cultural values. The “X侠” structure originates from the Han Dynasty term “游侠” and has undergone significant evolutionary changes under the influence of popular wuxia novels, foreign animations, and hero-centric films. Since the emergence of “键盘侠” in 2014, “X侠” neologisms have proliferated and are characterized by the quasi-suffix “-侠”, which reflects a diminished association with the original connotations of “侠.” This study analyzes the semantic changes of “X侠” through four semantic features: [+help], [+ability], [+person or actions of a person], and [+positive connotation]. It finds that “X侠” primarily denotes “a person performing specific actions” while developing a range of pragmatic meanings, including altruists, victims, negative actors, specific professional groups, and even names for companies or software platforms. The creation of “X侠” neologisms is driven by linguistic factors such as linguistic economy, generalization, and grammaticalization, as well as extralinguistic influences, including the growth of the internet, sociocultural shifts, and the viral spread of memes. Ultimately,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Internet provides a fertile environment for the creation and dissemination of neologisms. “X侠” has thus become an integral component of modern Chinese vocabulary, reflecting its enduring popularity and cultural relevance.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