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모바일 영화 애플리케이션 UI 디자인 사용성 평가 연구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26.14305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25-133(9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 IT 산업 기술 발달로 인해 스마트 디바이스의 보급률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사용자들은 여가 생활 에 관련된 다양한 문화 콘텐츠 애플리케이션이 점차 증가하고 이에 사용자들은 마음에 드는 폭 넓은 문화 콘텐츠 애플리케 이션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소통의 매개체로 밀접한 관계가 있는 많은 콘텐츠 중 영화는 중요한 우리의 문화생활에 한 부분이 되었다. 모바일 영화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UI 디자인 사용성 평가 연구를 통해서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 들 대상으로 평가를 통해 UI 개선과 사용성 향상에 필요한 사항을 제안하는 것이다. 2017년도 상반기 구글 플레이(Google Play)와 애플 앱 스토어(Apple App Store) 모바일 영화 애플리케이션에서 다운로드 및 사용자 기준으로 상위에 해당하는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 방법을 진행하기에 앞서 목적에 따라 문헌조사와 실증 연구 를 통해 진행하였다. 이후 첫 번째로 이론적 고찰로는 선행 연구를 통해 모바일 영화관의 이해 및 모바일 앱의 이해 그리고 UI의 대해 정리 후 모바일 영화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 평가 항목들을 적용할 수 있게 도출하였다. 세 번째로 앞서 진행되 었던 고찰들을 통해 사용성 평가 항목들인 3개의 모바일 영화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을 통 해 평가 및 결과를 분석하였다. 네 번째로 평가항목 결과로 모바일 영화 애플리케이션 UI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 다. 사용자 중심의 UI 디자인은 많은 정보 속에서도 직관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제시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 한 영화 애플리케이션이 가능하도록 할 것이다.
더보기The spread of smart devices is gradually expand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IT industry technology, which is advancing day by day. Users are increasingly using a variety of cultural content applications related to their leisure activities, so that users can use their favorite cultural content applications. Much of the content that has been closely related to communication has become part of our cultural life. Assessment of the usability of the UI design using the UI design usability assessment methodology to propose the need for improved UI improvements and usability improvements. In the first half of 2017, the company chose CGV, Lotte Cinema, and Megabox for download and user criteria based on download and user criteria for Google Play and Apple App Store. Prior to proceeding with this research method, literature research and demonstration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Since then, the first theoretical consideration has led to advances in understanding the mobile cinema's understanding of the mobile cinema's understanding and mobile apps and usability assessment of mobile cinema applications. Through the third consideration, assessment and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usability assessment of the three mobile film applications, which were used by the usability assessment. Fourth, the presentation of the mobile film application UI design guidelines was presented as a result of the assessment item. User-centric UI designs will provide users with more intuitive and convenient information applications to enable users to provide more efficient and convenient film application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