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 립 메이크업 제품의 사용감과 색소 발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eeling of Use and Color Expression of Vegan Lip Makeup Products
저자
발행사항
서울 :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 미용예술학과 메이크업디자인 , 2024. 8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발행국(도시)
서울
형태사항
87 ;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최민령
UCI식별코드
I804:11015-200000804836
소장기관
Lip makeup products offer a visually aesthetic effect by lip coloring while serving as a cosmetic clinic to correct and complement lip shape. However, applying them direct to sensitive lips risks ingestion of them. Therefore, technical research on cosmetic products is required for a guarantee of not only safe application to lips, but also efficient lip coloring. Recent years have seen an increasing interest in cosmetics ingredients. The concern for health prompts growing interest in vegan cosmetics that have neither cosmetic additives such as chemical preservatives, cosmetic colorants, and fragrance ingredients, nor animal origin raw materials with cross-contamination, spawning a variety of vegan lip makeup products. Most research literature on vegan lip makeup product has so far focused on such survey research as emotions of applying them, and behaviors of buying them, with most of studies on emotional mage classification conducted in terms of color functions. However, we conducted a market research for vegan lip makeup products to grasp the user’s feelings of applying the products and their reaction seen after application. And then, we did a comparative experiment in color development between vegan and none-vegan lip makeup product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functional enhancement in color expression. The findings and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ed women in their 20s bought at least 1peace of lip makeup product or more in a year. And they decided to buy based on more color than price or quality, meaning trend colors and personal color is the driving force behind their buying behavior. It suggests before launching lip makeup products, it should be taken in consideration to reflect trend colors and personal color to develop the products of a variety of colors suitable for consumer tastes. Second, the market research showed vegan lip makeup products enjoyed a very good recognition in terms of safety, protection, color development, functional cosmetics. It implies the solid demand-side ground work has been laid for developing vegan lip makeup products and revamping the market.
Third, as for user’s feelings, there was seen a little difference in spread ability, consistency, irritation, color development, and color maintenance between formulas of lip stick, and lip gloss. It suggests a clear functional differentiation and positioning between them should be ensured in order to satisfy the women’s digging consumption.
Finally, regarding color development, this study showed vegan lip makeup products was poorer than none-vegan lip makeup ones. Especially, lip gloss formulas was poorer than lip stick ones, requiring technical complementing, specifically with light colors such as pink and orange in need of complementing. It means the vegan lip makeup product enjoys a more positive recognition than the none-vegan lip makeup product in terms of texture, irritation, etc., while seeing a poorer color development, contrary to the general perception. This implies steady research is required for enhancing the color development in vegan lip make up products. In brief,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ed there is a need for developing vegan lip makeup products that ensure not only safe application to lips, but also efficient lip coloring. And also, the implication is that developing various vegan cosmetic ingredients, along with technically complementing color development would lead to promoting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vegan lip makeup products,thereby helping revamp the market.
비건 립 메이크업 제품의 사용감과 색소 발현에 관한 연구 립 메이크업 제품은 입술에 색채를 부여하여 시각적인 미적 효과를 주 며, 입술 형태를 수정 및 보완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제품 특성상 예민 한 입술에 직접 사용하기 때문에 섭취할 수 있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어 입술에 안전하게 사용함과 동시에 본연의 기능인 색을 아름답게 부여하는 기술적인 부분까지 탐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최근에 화장품의 원재료에 관한 관심이 높아져 연약한 피부에 해를 줄 수 있는 화학방부제나 합성 색소, 합성 향 등의 첨가제가 없고, 동물 유래 원재료가 들어있지 않아 동 물성 성분과의 교차 오염이 없는 비건 화장품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비건 립 메이크업 제품도 많이 출시되고 있다. 최근까지의 비건 립 메이크업 제품에 관한 연구는 사용실태, 구매 행동 과 같은 설문 연구가 대부분이며, 색의 기능적인 측면에서도 감성적 이미 지를 분류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건 립 메이크업 제품에 관한 시장 조사를 통해 제 품의 사용감과 사용 후 감정반응을 살펴보고, 일반 립 메이크업 제품과 발색을 비교하는 실험을 통해 색 발현의 기능적인 측면에 제고의 여지가 없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입술에 안전하게 사용하면서도 색 발 현의 기능에 부합하는 비건 립 메이크업 제품의 소비 독려와 신제품 개발 및 시장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설문과 실증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 을 얻었다. 첫째, 20대 여성들은 립 메이크업 제품을 1년에 최소 1개 이상을 구입 하고, 제품을 구매할 때 가격이나 품질보다는 색상을 기준으로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트렌드 컬러나 퍼스널 컬러를 반영하여 소비자 의 기호에 적합한 다양한 색상의 립 메이크업 제품을 출시하는 것이 필요 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식물성 원료를 함유한 비건 립 메이크업 제품은 안전성, 보호 기 능, 발색, 기능 등 모든 측면에서 상당히 우수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 타나, 비건 립 메이크업 제품 개발과 시장의 활성화에 충분한 저변이 확 충되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비건 립 메이크업 제품의 사용감에 있어 립스틱과 립글로스 제형 에 따라 ‘발림성’과 ‘지속력’, ‘자극감’, ‘발색’, ‘색상 유지’에서 제형별로 약 간의 차이를 인식하는 정도이므로, 립스틱과 립글로스 제형의 특성을 고 려하여 각 제형에 따른 제품의 차이를 확실히 하는 것이 다양한 소비 취 향을 가진 여성들의 만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비건 립 메이크업 제품과 일반 립 메이크업 제품의 발색력에 있 어 비건 립 메이크업 제품이 일반 립 메이크업 제품과 비교하여 발색력이 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립스틱 제형보다 립글로스 제형의 발색력이 더 떨어져, 이에 관한 기술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 히, 핑크와 오렌지와 같은 연한 색상의 발색력 보완이 필요하다. 이것은 비건 립 메이크업 제품이 일반 립 메이크업 제품과 비교하면 질감이나 자 극 등에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지만, 발색력과 유지력이 좋을 것이라는 인식과 달리 실제 일반 제품과 차이가 있다는 것은 비건 립 메이크업 제 품의 발색력 보완을 위한 꾸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에서 입술에 안전하게 사용하면서, 색 발현의 기능에 부합 하는 비건 립 메이크업 제품 개발의 필요성이 확인되었고, 색상 발현의 기술 보완과 더불어 다양한 비건 원료의 개발을 통해 활발한 제품 생산 및 소비 촉진으로 시장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