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전통한옥의 활용과 기초자료정리 문제 = Category of Traditional Hanok Cultural Prototype Contents and Utilization Prospects
저자
이해준 (공주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75-396(22쪽)
KCI 피인용횟수
3
제공처
The value of traditional hanok[傳統韓屋] is recognized so highly as to be chosen as ‘Han[韓] Brand,’ and recently, efforts have been made increasingly to utilize it as cultural tourism resource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many problems raised in the discussions of inheriting and utilizing such hanok culture.
Examples of such problems include the discussions about utilization that are concentrated mainly in ‘hanok as building’, resulting in the cultural identity and distinction inherent to hanok culture relegated to a lower priority, and reduced scope of prototype contents related to the traditional hanok, and inadequate efforts to secure them.
This paper is to establish the prototype contents of hanok culture synthetically and efficiently as alternatives to these problems and its concrete contents are to accurately grasp 1) timing and principal agent, construction background, 2) comparison and distinction by region, and 3) hanok cultural space and cultural relativity, and through this, to secure proper understanding of the applicable hanok culture, competitiveness and distinction of resources utilization. I expect that this paper can help to specialize, highlight distinction, and secure the scope of utilization, materials, objects, and ideas in utilizing hanok culture as cultural tourism resources. Without attaining this, hanok culture which ‘puts the cart before the horse’ or ‘reverses the proper order’ may emerge or half of the value of hanok culture that emphasizes ‘practicality and aesthetics’, structural superiority, environment-friendly would be lost.
Like other traditional culture, architectural culture has factors for conflict in cultural value and meanings of traditional era in modern society. So failure to understand historical, regional, and cultural historical value is bound to result in distortion and refraction. In this context, the strict distinction between cultural historical symbolism and practicality is necessary, and for that reason, in order to inherit the proper function and value of hanok culture, the establishment and test of synthetic data (prototype contents) of hinok culture and understanding of meanings should precede. It is because, by doing so, the competitiveness and distinction of hanok culture that can be utilized or symbolized by Han Brand can be attained.
전통 한옥은 ‘韓 브랜드’의 하나로 선정될 정도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를 문화관광자원으로 활용하려는 노력들이 증대되고 있다. 그런데 이 같은 전통한옥문화의 계승과 활용에 관한 논의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도 적지 않다.
예를 들면 활용논의가 주로 ‘건축물로서의 한옥’에 집중됨으로서 전통한옥문화 고유의 문화적 정체성과 차별성이 후순위로 밀리는 문제, 전통한옥 관련 문화자료들의 범위 축소와 확보 노력 미흡 등이 바로 그러한 것들이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한옥문화 기초자료를 종합적, 효율적으로 정리하기 위한 방향을 정리한 것이다. 구체적인 내용은 1) 시기와 주체, 건축배경 2) 지역별 비교와 차별성 3) 전통한옥문화의 공간과 문화상대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통해 해당 한옥문화의 올바른 이해와 자원활용의 경쟁력, 차별성을 확보하자는 것이다. 본고가 향후 전통한옥문화를 문화관광자원으로 활용함에 있어 특화, 차별성 부각, 활용의 범위와 소재, 대상, 아이디어의 확보 등에 작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이는 ‘본말’과 ‘주객’이 전도된 한옥문화가 새롭게 나타나거나, 혹은 ‘實用과 美學, 구조적 우수성, 친환경 등’을 강조하던 전통한옥문화의 가치가 반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함이다.
다른 전통문화들과 마찬가지로 건축문화의 경우도, 전통시대의 문화가치와 의미가 현대사회에서는 갈등 요인이 되는 경우가 없지 않다. 때문에 전통문화에 대한 역사적, 지역적, 문화사적 가치를 이해하지 못하면 왜곡과 굴절은 필연적으로 뒤따르게 된다. 그런 점에서 문화적 상징성과 실용성의 엄밀한 구분은 물론 필요하다. 결국 전통한옥문화의 본령과 가치가 현대적으로 계승되려면, 종합적 전통한옥문화 기초자료의 정리와 검증, 의미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거기에서 활용이 가능한, 또는 ‘韓 브랜드’로 상징되는 韓屋 문화의 경쟁력과 차별성도 챙겨질 것이기 때문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12-3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rklife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lklife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3 | 0.63 | 0.6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8 | 0.66 | 1.486 | 0.0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